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술평론: 미디어아티스트 최철주 미디어아트 영상전, Chul-joo Choi’s Media-art: <최철주 나팔꽃>, <사라진 연못>, <대나무 숲>, <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최철주의 송하선인취생도>, 20..

by 루이 최 2020. 12. 28.

 

미술평론: 미디어아티스트 최철주 미디어아트 영상전, Chul-joo Choi’s Media-art: <최철주 나팔꽃>, <사라진 연못>, <대나무 숲>, <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최철주의 송하선인취생도>, 20201126-20201210, Minoo Media Art Museum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미누현대미술관의 미디어아트 영상에서 최철주의 <나팔꽃>은 완성된 작품을 해체하고 결합하는 과정뿐만아니라 쓰레드 페인팅까지 그려내며 미디어아트와 그 과정을 담은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나팔꽃>은 꽃의 자리를 디자인하고서 그 꽃의 형태에 의존하는 잎과 줄기의 자리를 정했다.

그 자리는 꽃의 구도로서의 줄기를 꽃에 맞춘다.

전체 이미지에서 줄기와 잎의 구조로 꽃을 그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미디어아트 제백석의 <나팔꽃>과 달리 나팔꽃의 꽃을 시작으로 나머지 구조를 디자인한 미디어아트는 디자인박사 최철주의 <나팔꽃>이다.

그는 정해진 존재, 즉 순간적인 우연의 일치에 의존하는 꽃의 자리를 디자인한다.

이것은 대기(大氣)의 묘사 없는 미디어아트와 페인팅에 실제화한다. 여기서 기계적으로 재현되는 오리지널 미디어아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타자의 응시로써 그려낸 형식이 쓰레드 페인팅(thread painting)이다.

그 쓰레트 페인팅을 디자인하는 것은 라캉적 환유와 은유로서의 페인팅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은유적 이미지가 하나의 기표가 다른 이미지로 대치되면서 원래 페인팅이 타자의 욕망을 기호화된 의미로서의 쓰레드 페인팅이 된다.

이 페인팅은 물체를 마주보는 과정에서 빛의 부피를 형상화하고 물체의 그림자를 관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그는 쓰레드 페인팅에서 조형의 구조를 “형상을 구성한 실은 대상을 설명하지 않고 연쇄된 실이 조형적 구조가 되면서 조형적 의미가 소급되어서 실에 색이 교직된 회화적 쓰레트 페인팅의 구조”라고 했다.

그 구조의 색은 시간의 거리를 주어서 표식하지 않고 퇴색된 본디의 조형 구조로 간주하여 보임으로서 숨겨져 있는 미적 가치를 보인다.

그리고 개념미술의 문학성을 넘어서 쓰레드 페인팅으로써 조형성을 비등(沸騰)하고서 남겨진 실을 그려서 새로운 조형의 구조로서 색으로 매듭한다.

선형의 구조가 특정한 색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실에 그 색의 구조를 실에 넣어서 색을 가려 막는 매듭으로서의 조형을 특정한 색에 조응할 수 있도록 선형적 구조의 색이 존재한 조형을 구성한다.

따라서 ‘쓰레드 페인팅’은 개념미술의 지나친 문학성을 부정하는 선형적 미학을 추구하는 천에 실과 페인트를 칠한 그림이다.

그림은 위아래와 앞뒷면을 구분하지 않는 다면화다. 그 이미지는 실제 모양과 피사체와 일치하는 가시적인 측면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의 물질로 감추어지고 사라진다.

대상의 작은 조각은 의식 운동을 통해 전달되는 실제 공간에서는 사물의 실제 이미지로 변환된 상징적인 이미지로 보인다.

이것은 어떤 형상의 의미를 말하는데, 작은 조각은 실제로 되돌릴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하고 형상의 의미를 말하는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진다.

그것은 천과 같은 재료에 주재(主材)된 형상과 빛의 색깔로서 대상의 자리는 그 대상의 자리를 숨길 수 있는 공간의 필연성에 의해 대상의 자리가 결정된다.

미디어아트 전시 공간의 자리에서의 물리성이 갖는 가역적 적시성은 빛의 색으로 공간을 만들고 빛의 색으로 대상의 자리를 인식하는 것이다.

추상적 빛의 공간은 물질적 대상의 구조를 엿볼 수 있지만, 그 자리는 대상의 주체가 그 시간성의 변화에 따르는 공간의 여백이 된다.

그 여백은 추상적 공간이지만 페인팅의 주체가 말하는 가역된 빛의 색깔로 그려짐에 따라 그 여백에 숨겨진 대상의 자리를 만든다. 이것은 페인팅이 대상에 대하여 공간의 빛을 형상화한 이미지와 일치되도록 대칭적인 공간의 필연성에 따라서 정해진 대상이 자리다.

그리고 대상에 맞춘 이미지의 공간은 여백의 형식으로 한 간극을 천으로 이어진 분리된 공간을 만들고 그 이미지의 색깔은 대상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제를 빛의 색깔로 꾸민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ul-joo Choi, Media-art "Disappeared pond", Still image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pond-68), 2020

 

 

미디어 아트 “사라진 연못”은 미디어 아트에서의 사진의 이미지를 빛의 조건으로 구분하여서 대상의 윤곽선과 단색으로 디자인한 페인팅의 디지털 아트다.

이것은 인상주의 회화와 대중문화의 개념을 접목한 미누현대미술관의 디지털 연못을 재현한 것으로 연못 사진을 그림으로 디자인했다.

미디어아트로 만든 물고기는 실제 연못의 대체 이미지로 움직이는 물고기의 주체로, 가상 연못의 디자인 이미지는 광학 미디어 아트로 구성된 시의성을 감상하는 형태다.

피사체로 한 퍼포먼스로서의 형태는 미디어에서 실제의 연못을 상징적으로 디지털화하지만 인터랙티브한 구성은 비실제의 디자인으로부터 출현한다.

실제로서 디지털 연못에 의미가 가상적으로 부여됨으로써 그곳에 있는 물고기는 모방한 이미지이어도 항상 연못 속에 자리한다. 여기서 가상의 연못 효과는 물고기와 달리 연꽃과 분리된 연못의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 다른 기호는 물고기의 언어적 의미로서 연꽃과의 연관성을 반복하고 연못의 물고기 기호 디자인과 관련된 의미를 만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미지다.

이것은 단순화 과정으로 한 디자인된 “사라진 연못”을 해석하는 기호의 의미다.

여기서 인상주의 회화 이미지로 한 연꽃의 디자인은 기호 이미지로서 “사라진 연못”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기호의 특성을 시각화하지만, 인상주의 화풍은 형태를 규정하는 검은색을 제외한 빛의 원색을 강조한다.

상징적 기호가 빛의 개입으로 물고기가 될 수 없는 어떤 외형적인 형태의 실제를 중심으로 물고기 기호로 구조화된 회화적 모방성을 감춘다.

회화적 기호 모방의 언표행위에서 모방성의 주체는 라캉적 이미지와의 동일시에서 드러난다.

 

이것은 모방적 이미지로서 주체가 분열하면서 의미가 무의식을 동시에 회화적 이미지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체는 고기토(cogito)에 의한 모방적 이미지의 연쇄화에 따른 무의식의 주체다.

“사라진 연못”에서 물고기 기호를 출현하는 연못의 디자인은 언어적 의미를 실제의 존재로 표상한다. 여기서 물고기와 연못의 본질적 요소의 디자인은 구상적 연꽃의 조도에 대비되는 흰색의 물고기와 검은색의 연못으로 추상된다.

그리고 물고기는 기호로서 조각난 의미를 은유하여서 시각적으로 출현한 디자인 이미지는 기표로서 흰색의 물고기다. 그 물고기와 교합된 검은색 연못 속을 다른 기의로 치환한 추상 디자인은 사라진 연못의 의미를 표출한다.

이것은 회화적인 모방 과정에서 왜곡된 이미지의 조각들을 반복해서 조합한 디자인을 특징짓는 기호 작용의 의미를 지시한다.

그 의미는 모방한 이미지를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다. 여기서 이미지는 비실제적 공간에 기호화된 의미의 조각이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282)

 

<대나무 숲>은 현존하는 대나무 사진들을 패러디한 그림으로 드가(Edgar Degas)의 사진처럼 계산된 정확한 구도와 빛 공간을 의식하는 필연적 조형성이다.

현실적 조우(遭遇)로서 비와 바람의 이미지를 그대로 그려서 미적 시간성에 맞춘 대나무 숲과 그 시간에 일어나는 본뜬 사진적 형상을 더불어 보인다. 이것은 대나무의 한정된 사진적 프레임과 달리 347개의 대나무 숲 사진의 문체(文體)적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 한 미디어아트 <대나무 숲>이다.

<대나무 숲>의 주체는 타자의 욕망에 종속되어 있으며, 그것이 이미지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숨긴다. 그 주체를 드러내려고 <대나무 숲> 이미지에서 분리된 주체로써 타자의 욕망을 대나무 숲 페인팅에 실제화한다.

미디어 아트에서 이미지의 의미와 효과는 이미지가 표면 영역 내의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 때문에 일시성이 다른 그 공간의 목적물이 된다. 이렇게 그 공간에서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의 의미와 효과는 그 시간성에 있는 공간의 주체가 된다.

따라서 '대나무 숲'은 사진 이미지를 재현함으로써 왜곡된다. 그 결과로써 대나무 숲의 미적 가치는 미디어 아트 <대나무 숲>으로, 대나무 이미지의 표현은 존재하지 않는 그림으로서의 이미지에 감추어진 시기적절함의 주체와의 연관성을 드러낸다.

"대나무 숲"의 시기적절함은 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가상 공간을 만들고 미디어 아트 "대나무 숲"의 시각적 연속성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미디어 아트 "대나무 숲"은 일련의 시간 개입으로 그려진 가상의 이미지를 그린 것으로 시각적 연속성을 보인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대나무 숲에 겹쳐진 대나무의 빛과 어둠을 각인시키고, 사진에서 떨어져 있는 대나무 그림의 실제를 객관화한다. 여기서 인상은 이미지의 대상과 그림의 상징적 표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대상으로서 대나무의 구조주의적 형태는 돌이킬 수 없이 정지된 기호적 사진이 된다.

이렇게 그 사진은 사진 구조로서 대나무를 주제로 한 정지된 기호적 인상이 된다. 그 인상은 물체의 피사체와 사진의 기호적 표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피사체로서 대나무의 이미지로서의 구조주의적인 소리는 돌이킬 수 없이 정지된 기호적인 사진이 된다.

그러나 대나무 그림은 대나무 사진의 의미를 왜곡하고 있으며, 대나무 사진의 모양과는 다르게 구별된다. 이것은 실존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사진과 그림의 기표일 뿐이다.

따라서 사진과 형태가 다른 일러스트레이션한 그림을 촬영하여 사진과 동일하게 한다.

최철주 그림 대나무 숲의 의미는 언어의 구조와 같은 은유적이어서 대나무의 형태와 동일하지 않다. 순간적인 시간을 소유하는 현실로서, 그것은 비바람과 다른 형태와 이미지들이 겹쳐진 현존하지 않는 그림이다.

그리고 그는 대나무 숲의 진짜 형태의 생성된 위치가 결여된 가상의 이미지를 다른 미디어 아트로 대체하고 대나무 숲의 내면적 이미지의 실제를 꾸민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ul-joo Choi, Media-art "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Song·Ha·Sun·In·Chui·Saeng·Do by Chul-joo Choi", Still image-1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pond-61), 2020

 

 

미디어아트 <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는 만화가 최철주가 김홍도의 “송하선인취생도”를 보고서 신윤복의 풍속화를 재구성한 만화 이미지다.

따라서 <신윤복풍주밀회도>의 또 다른 명제는 “송하선인취생도”다.

이것은 바람부는 날 남녀가 주체하는 애정을 표현하려고 남몰래 만나러 가는 장면과 노골적인 애정 표현을 일반적인 모습을 얼갠다. 여기서 만화 이미지는 애정을 표현하지만 그 만화이미지는 기호적 이미지에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뱃놀이와 목욕 장면 등을 조선시대의 여인들의 일상을 그린 신윤복의 원작과 같은 방식으로 남녀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만화로 재구성했다.

일상을 풍자한 신윤복의 풍속도가 만화적 구성과 유사한 점을 고려하여 ‘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의 만화적 구성은 한 컷의 연속적 구성했던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처럼 클로즈업 장면을 부분적으로 그려서 맞췄다.

따라서 팝아트적 방식으로 한 만화적 미디어아트로써 조선시대 사회의 현상을 만화이미지로 풍자하려고 “신윤복풍주밀회도”는 연속되는 만화 컷으로 보인다.

뱃놀이와 강가에서의 목욕하는 장면에 맞춰서 비발디의 사계 중에서 ‘여름’을 사운드로 하여서 풍속에 긍정적인 동시대의 세태를 일별한다.

이처럼 만화 미디어 아트는 사회 문제를 드러내는 매체보다는 대중적인 예술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여름에 뱃놀이하는 양반과 기생 그리고 강가에서 목욕하는 여인들을 훔쳐보는 남정들과 그네타는 여인 등을 여러 컷의 만화로 그려서 강가에서 배가 움직이게 했다. 주변의 인물들은 기생과 남정 그리고 풍경의 여유로운 빛과 그림자를 조화롭게 재구성 했다.

‘신윤복풍주밀회도’는 마네의 ‘풀밭위의 점심식사’처럼 사회적 매너리즘의 실재적 표상을 만화이미지로 한 미디어로 매체 공간에 보인다.

이것은 실재의 풍속을 만화이미지로 동영상으로 재현한 미디어아트에 어울리게 균형을 잡는다. 여기서 신윤복이 그린 목욕하는 조선시대 여인의 이미지는 사회성을 담고 있으나 비실제적 만화로 재현한 '신윤복풍주밀회도'는 화풍의 만화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만화 이미지를 움직여 미디어 아트를 강조하는 조선시대의 만화 화풍은 실제 풍경과 인물과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만화로 비쳤다.

그리고 미디어 아트의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 신윤복의 그림은 조선의 놀이 문화를 바탕으로 한 일련의 만화 이미지를 창조하기 위해 재구성했다.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디자인박사)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Art Review: Media Artist Chul-joo Choi's Individual Exhibition Media Art Video Exhibition: , , , <"Shin•Yun•Bok•Poong•Ju•Mil•Hoe•Do"=“Song·Ha·Sun·In·-Ch

-ui·Saeng·Do” by Chul-joo Choi>, 20201126-20201210, Minoo Media Art Museum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ul-joo Choi, "The morning glory-Still image108"

 

 

In the media art video of the Minoo Media Art Museum, Chul-joo Choi's "The morning glory" not only depicts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combining the completed works, but also depicts the image and process of media art by drawing thread painting.

The morning glory designed the flower's place and set the place for leaves and stems that depend on its shape. The position aligns the stem with the flower as the composition of the flower.

Unlike Media Art of QiBaishi's "The morning glory" which shows the process of drawing flowers in the structure of stems and leaves in the entire image, the media art that designed the rest of the structure, starting with the flower of the morning glory, is "The morning glory" by Chul-joo Choi, a doctor of design.

He designs a flower's spot that relies on a set being, an ephemeral coincidence.

This is realized without explanation of the atmosphere in media art and painting. It is thread painting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original media art, which is mechanically reproduced here, in response to the desire of the others.

Designing the thread painting is to apply Lacan's metonymy and metaphors to painting work.

As metaphorical images replace one symbolic image with another, the original painting becomes thread painting as a symbol of the desire of the others.

This painting embodies the volume of light in the process of facing an object and ideologically depicts the shadow of an object.

In addition, he said in thread painting, "The structure of the form is a structure of pictorial thread painting in which the formative meaning is retroactive as a series of threads become a formative structure without explaining the object of the thread that formed the shape."

The color of the structure gives a distance of time, so that it is regarded as a formative structure of a faded original structure without marking it, showing the aesthetic value hidden as seen.

And beyond the literary character of conceptual art, painting a thread painting is a new type of structure that describes the shape of the thread, thereby raising the formality and ending it with color.

Construct a shape in which the color of the linear structure exists so that the shape as a knot that hides the color by inserting the structure of the color into the thread so that it can adapt to a particular color.

Therefore, "Thread Painting" is a painting of yarn and paint on a cloth seeking linear aesthetics that denies the excessive literary nature of conceptual art.

This painting is a multi-faceted painting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op and bottom, front and back. The image is represented by the actual shape and the visible aspect that matches the subject.

Painting here as a subject of change in customs is another image that appears to be a subject.

It is hidden and disappears as a material of a subject drawn in small pieces invisible from space.

In the actual space transmitted through the ritual movement, a symbolic image converted into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is a small piece of the object.

This refers to the meaning of a certain shape, and the small piece defines the space that can actually be reversible and refers to the meaning of the shape, which is obscured by the actual changed movement of the feature.

It is the color of shape and light, the embodiment of material such as cloth,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is determined by the inevitability of the space that can hide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stead of the media art exhibition space, the reversible timeliness of physical assets is to create a place with the color of light and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the color of light.

The space of abstract light gives a glimpse into the structure of a material object, but its position becomes the margin of space in which the subject of the object follows the change in its temporality.

The margin is an abstract space, but as the subject of painting is drawn in what it says is the color of reversible light, it creates a place for the space hidden in the margin. This is an object position determined by the inevitability of symmetrical space, which matches the image of light in space for objects with pictures.

And the space of the image tailored to the target creates a separate space that connects a gap to a cloth in the form of a margin, and the color of the image is decorated with the actual color of the traditional universality facing the object.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ul-joo Choi, Media-art "Disappeared pond", Still image, 2020

 

 

The media art "Disappeared pond" is a digital art of painting designed in monochrome and contours of objects, separating images of photographs in media art into conditions of light.

It is a reproduction of the digital pond of the Minoo Media Art Museum, incorporating impressionist paintings into the concept of pop culture and designing a photo of the pond as a painting.

A fish made of media art is the main body of a fish that moves with an alternative image of a real pond, and the design image of a virtual pond is a form of appreciating timeliness consisting of optical media art.

The form of performance as an object symbolically digitizes the actual pond of the media, but the interactive configuration appears in the non-realistic design image.

In fact, the digital pond is given a hypothetical meaning, so the fish there always sit in the pond, even if they imitate it. The pond effect imaginable here is a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image of the pond separated from the lotus flower, unlike the fish.

Another symbol is the verbal meaning of fish, an image that shows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association with lotus flowers and meeting the meaning associated with the design of fish symbols in ponds.

This is the meaning of the symbol interpreting the "Disappeared pond" designed as a simplification process.

Here, the design of lotus flowers with impressionistic images visualizes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s so that "Disappeared pond" can interact, but the impressionist painting style emphasizes the circular color of light except black, which defines the form

The symbolic symbol hides the imitative nature of the painting composed of fish symbols, centering on some outward form of fact that it cannot be a fish due to the intervention of light.

In linguistic acts imitating pictorial symbols, the subject of imitability is revealed in the Lacan image and homogeneity.

This is an imitative image, because as the subject divides, meaning simultaneously reveals unconsciousness as a pictorial image. These subjects are the subjects of un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serialization of imitative images by cogito.

In "Disappeared pond" the fish forms in white to distinguish light, and the pond designs lotus flowers by imitating impressionist paintings.

The design of the pond, in which fish symbols appear in "Disappeared pond" represents the linguistic meaning as a real being. Here the design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fish and ponds is abstracted into white fish and black ponds contrasted with the illumination of the conceptual lotus flower.

And the visual design image of the fish as a symbol by metaphor of the fragmented meaning is a white fish as a sign. The abstract design, which replaced the black pond intertwined with the fish with other meanings, expresses the meaning of the disappeared pond.

This dictates the meaning of symbolic action that characterizes the design, which is a repeated combination of distorted pieces of image in the course of pictorial imitation.

The meaning is symbolic language that symbolizes the image imitated. Here the image is a piece of symbolic meaning in an unrealistic space.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

 

 

"The Forest of Bamboo" is a parody of existing bamboo photographs, and is an inevitable composition conscious of the exact composition and light space calculated like that of Edgar Degas.

As a realistic encounter, the images of rain and wind are depicted in a bamboo forest tailored to aesthetic timeliness and the photographic image that takes place at that time. Unlike the limited photo frame of bamboo, it is a media art called “the Bamboo Forest”, which depicts 347 painting styles of bamboo forests in design and shape.

The subject of the bamboo grove is subordinate to the desires of others and hides the fact that it is the subject of the image. To reveal the subject, the other's desire as a separate subject from the image of the bamboo forest is realized in painting the bamboo forest.

In media art, the meaning and effect of the image are object's material for that space with different temporality due to the time that the image does not affect the space within the surface area. In this way, the meaning and effect of the image affecting the space becomes the subject of the space in terms of its timeliness.

Therefore, the "bamboo forest" is distorted by reproducing photographic images.

As a result, the aesthetic value of the bamboo forest is the media art, "The Bamboo Forest," which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formed form and the subject of timeliness hidden in the image as a non-existent painting.

The timeliness of "Bamboo Forest" creates a virtual space for media users and the visual continuity of the media art "Bamboo Forest," which is a photograph of a virtual image drawn by a series of interventions of another time. And the media art "Bamboo Forest", which is a painting of virtual images drawn in a series of interventions of time, shows visual continuity.

This imprints the light and darkness of bamboo overlapped in the invisible bamboo forest, and objectifies the reality of the bamboo painting away from the photo. Here the impression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of the image and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painting, and as a target, the structuralist form of the bamboo becomes irreparably stationary symbolic photograph.

So the picture gives a static and symbolic impression on the subject of bamboo as a photographic structure. The impression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the object and the symbolic expression of the photograph, and as the subject, the structuralist sound as an image of bamboo becomes irrevocably stationary symbolic photograph.

However, the painting of bamboo distorts the meaning of the bamboo photograph, which is identified differently from what it looks like. This is just a token of photographs and paintings that are not realistically matched.

Therefore, take a photo to draw a different painting from the photo and make the same image as the picture.

The meaning of the Bamboo Forest, painted by Chul-joo Choi, is metaphorical, such as the structure of language, so it is not the same as the shape of bamboo. As a reality that owns instantaneous time, it is an unexistent painting that overlaps rain and wind with other forms and images.

And he replaces the virtual image drawn by the lack of self-created location of the true form of the bamboo forest with other media art and decorates the actuality of the inner image of the bamboo forest.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Chul-joo Choi, Media-art "Shin•Yun•Bok•Poong•Ju•Mil•Hoe•Do=Song·Ha·Sun·In·Chui·Saeng·Do by Chul-joo Choi", Still image, 2020

 

 

Media art "Shin•Yun•Bok•Poong•Ju•Mil•Hoe•Do" is a cartoon image of a cartoonist Choi Cheol-ju, who reconstructed Shin Yun-bok's folk painting after seeing Kim Hong-do's “Song·Ha·Sun·In·Chui·Saeng·Do”

Therefore, another proposition of Shin•Yun•Bok•Poong•Ju•Mil•Hoe•Do" is "Song·Ha·

Sun·In·Chui·Saeng·Do".

This is a general reflection of the scene where men and women secretly go out to meet to express their love on windy days. Here, the cartoon image expresses affection, but the cartoon images are not involved in the symbolic image.

Thus, the boat play and bath scenes were reconstructed into cartoons that express the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same way as the original painting by Shin Yun-bok, which depicts the daily lives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Shin Yun-bok's paintings, which satirizes daily life, is similar to that of a cartoon, the cartoon composition of "Shin•Yun•Bok•Poong•Ju•Mil•Hoe•Do" was partially drawn and matched with a close-up scene like the one-cut series of "Roy Lichtenstein.“

 

Thus, as a cartoon media art of popular art, "Shin•Yun•Bok•Poong•Ju•Mil•Hoe•Do" is seen as a series of cartoon cuts aimed at satirizing the status quo of Joseon Dynasty society with cartoon images.

In line with the scene of boat play and bathing by the river as a cartoon image, the sound is the Vivaldi's "summer" of the four seasons, giving a glimpse of the positive contemporary image.

 

As such, cartoon media art is carried out in a popular art way rather than in a media that reveals social problems.

In the middle of the summer, boat play, gisaeng, men who peeked at women bathing by the river, and boats were drawn in several cartoons to move boats playing in the river. The surrounding figures harmoniously reconstructed the relaxed light and shadow of the gisaeng, men, and landscape.

"Shin•Yun•Bok•Poong•Ju•Mil•Hoe•Do" is shown in the media space as a media with cartoon images of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social mannerism, such as Manet's "The Luncheon on the Grass".

It balances the real customs with media art reproduced in animated images. Although the appearance of a woman in the Joseon Dynasty, where Shin Yun-bok bathes, shows sociality, but "Shin•Yun•Bok•Poong•Ju•Mil•Hoe•Do" which were reborn as unrealistic cartoons, focus on the pictorial cartoon characteristics of painting style.

The Manwha painting styl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emphasizes media art by moving the cartoon image, was seen as a cartoon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landscape and the characters.

An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Sin Yun-bok's paintings were reconstructed to create a series of cartoon images based on the play culture of the Joseon.

 

Writing. Art critic Choi Chul-joo (Doctor of design)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