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평론11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 ​ 객관적 사건을 새로운 언어의 이미지의 역할을 보이는 사진으로써 형상화하여서 보도했던 미국의 잡지가 입니다. 가 전성시대인 1973년에 왜 폐간했는지를 알아봅니다. 당시 의 매니지먼트를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TV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는 광고 효과를 내면서 높은 가격의 광고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리고 구독자에게 보내는 우편 요금이 상승하여서 지출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에 출품된 포토저널리스트들 중 마가렛 버크화이트와 고든 파크스의 대표작을 살펴보겠습니다. ​ 의 종군 사진기자인 마가렛 버크화이트(Margaret Bourke-W.. 2021. 6. 12.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미술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알프레드 에이젠슈테트 & 유진 스미스”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미술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알프레드 에이젠슈테트 & 유진 스미스” 언론매체로서 포토저널리즘은 시사적 사건 현장을 사진으로 보도합니다. 이것은 언론매체의 보도 활동으로써 텍스트를 대신하여서 사진의 이미지로 확장된 것이다. 이렇게 주관적 시선으로 사진을 현상적 사건으로 보도하여서 의미를 객관화한 포토저널리즘 잡지가 1936년 미국에서 창간된 지입니다. ​ : 1945 Photo by Alfred Eisenstaedt ⓒThe LIFE Picture Collection ​ ​ ​ 는 지에서 미국 종전 특집으로 알프레드 에이젠슈테트(Alfred Eisenstadt)가 게재한 사진입니다. 그는 간호사 흰색 의복과 해군 수병의 .. 2021. 5. 23.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미술 사진평론 - 비실재의 배면 Black으로 한 사진 Nicolas Valois's <Codie Young in the wild>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미술 사진평론 - Work posted on Facebook: Nicolas Valois: 비실재의 배면 Black으로 한 사진평론: Nicolas Valois's Nicolas Valois, Codie Young in the wild, photograph, 2014 _Work posted on Facebook: Nicolas Valois ​ ​ ​ Codie Young in the wild 야생에서 Codie Young 사진은 존재하는 실재를 타자의 의식에서 객관화한다. 그 사진은 모사에서 출현한 인상적 회화의 의미 구도로부터 시작된다. 회화적 의미 구도에 맞춘 Nicolas Valois의 사진은 형상의 배경보다는 대상을 객관화한다. 이것은 꼴.. 2021. 4. 12.
ART REVIEW [Choi Chul-joo's Photo Review] Photographer Choi Jung-woon's <Ultimate Beautiful PARKJIHOON>, Hansae Museum, 20181027-20181028 ART REVIEW [Choi Chul-joo's Photo Review] Photographer Choi Jung-woon's &lt;Ultimate Beautiful PARKJIHOON&gt;, Hansae Museum, 20181027-20181028 Ultimate Beauty PARKJIHOON The ultimate beauty is the aesthetic transformative force the subject can handle. It is not a physical extremity but a boundary of the ultimate beauty with an aesthetic yield point. Shape create new forms of d.. 2018.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