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평론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by 루이 최 2021. 6. 12.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관적 사건을 새로운 언어의 이미지의 역할을 보이는 사진으로써 형상화하여서 보도했던 미국의 잡지가 <라이프(Life)>입니다.

<라이프>가 전성시대인 1973년에 왜 폐간했는지를 알아봅니다. 당시 <라이프>의 매니지먼트를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TV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는 광고 효과를 내면서 높은 가격의 <라이프> 광고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리고 구독자에게 보내는 우편 요금이 상승하여서 지출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라이프 사진전: 더 라스트 프린트>에 출품된 포토저널리스트들 중 마가렛 버크화이트와 고든 파크스의 대표작을 살펴보겠습니다.

<라이프>의 종군 사진기자인 마가렛 버크화이트(Margaret Bourke-White)는 <라이프>의 창간에서 1969년 은퇴할 때까지 <라이프>에서 가장 믿고 의지했던 기자입니다. 그녀는 강제 수용소에서 독일군이 실제 행하고 있는 비참한 현장을 촬영한 충격적인 사진을 <라이프>에 게재하였습니다. 이것은 그녀가 사진의 피사체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해서 대상을 촬영했기 때문에 <라이프>를 보는 이에게 그 대상의 가치를 느끼게 하여서 마음을 움직이게 했습니다. 그것은 세계의 정치적 뜻을 결정하는 단서를 제공할 만큼 <라이프>를 크게 성장하게 하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의 끝무렵,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에 문 앞에 선 죄수들>, 1945 Photo by Margaret Bourke-White ⓒThe LIFE Picture Collection

<제2차 세계대전의 끝무렵,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에 문 앞에 선 죄수들. 1945>

부헨발트 강제수용소는 독일 나치가 1937년에 세웠고 수용인에게 백신을 시험했던 악명높은 수용소입니다. 그곳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재판없이 격리 및 처벌을 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의 끝무렵, 부헨발트 강제수용소에 문 앞에 선 죄수들>은 철조망을 붙잡고 선 죄수들 사이에 여러명의 얼굴이 보입니다. 버크화이트는 철조망 뒤에 선 피사체로서의 죄수들을 응시하게 하려고, 앞에 선 죄수들의 조도를 실제와 다르게 전체 죄수에 맞춘 수동모드 노출로써 각각의 죄수들의 음영을 셔터의 속도에 적합한 수치로 조리개를 조정했습니다.

녀는 사회적 규범을 따르지 않았던 강제수용소에 격리된 불확실한 죄수의 시선을 통해서 보는 이에게 그들의 실상을 바라보게 하여서 보편적으로 옳은 것으로 마음을 정하게 합니다. 이렇게 그녀는 죄수들의 실상을 통해서 참혹한 전쟁의 이면을 동시에 교감시켜서 포토저널리즘적 의미로서 전쟁을 사진의 시각적 언어의 시간으로 가져갑니다.

<맨하탄 상공을 날고 있는. 도글러스 4 (D-4)>, 1939 Photo by Margaret Bourke-White ⓒThe LIFE Picture Collection

<맨하탄 상공을 날고 있는. 도글러스 4 (D-4). 1939>

맨하탄은 허드슨강과 이스트강에 둘러싸인 세계적인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입니다. 맨하탄 상공은 미국의 소유권이 미치는 맨하탄 지역 위에 있는 공중을 말합니다. 맨하탄 상공에서 사선으로 선 빌딩들의 구획선과 수평 방향으로 비행하는 4발 프로펠러 여객기 도글러스 4가 보입니다. 그 도글러스 위에서 평면적 시선으로 본 맨하탄을 일반적 구조로서의 상업 도시와 빌딩속에 감춰진 시간을 인식하게 하여서 문화적 흔적을 상상하게 합니다.

버크화이트는 <맨하탄 상공을 날고 있는. 도글러스 4> 속의 도글러스 비행기의 기능을 깨닫게 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유지하여서 맨하탄의 형상에 그녀의 의도를 남깁니다. 이것은 <맨하탄 상공을 날고 있는. 도글러스 4> 이미지에 대한 조형적 의미는 맨하탄 상공에 비행기가 머물게 되어서 현상으로서 맨하탄의 의미에 멈춰서게 합니다. 즉 위쪽 빌딩은 몬드리안의 〈뉴욕 시 3〉처럼 컬러테이프로 빌딩을 구획되어 있지만, 아래쪽 빌딩은 구획의 경계가 불분명한 빌딩을 통해서 도시의 불확실한 삶을 추상하게 합니다. 그리고 빌딩의 기능을 넘어서 멘하탄 공간과 삶의 관계에서 의미를 찾아갑니다.

 

든 파크스(Gordon Parks)는 <라이프>의 직속 사진가였습니다. 그는 영화의 현상적 행위를 멈춘 스틸 사진처럼 촬영합니다. 그의 사진은 정적인 구도에 목적 공간이나 도구를 구성하여서 사진의 주체가 보이는 형상이 말하는 의미를 그려냅니다.

<미국 국기앞에 빗자루와 걸레를 들고 서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부 엘라 왓슨>, 1942 Photo by Gordon Parks ⓒThe LIFE Picture Collection

<미국 국기앞에 빗자루와 걸레를 들고 서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부 엘라 왓슨. 1942>

미국 성조기는 왼쪽 위에 별을 문장으로 한 캔턴기입니다. 그 별은 하늘을, 회색으로 보이는 바탕의 적색은 모국인 영국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세로줄로 보이는 가로줄인 흰색은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상징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인력이 부족했던 미국은 북부로 이동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일부가 청소부를 했습니다. 그들은 아프리카 출신으로 시민권을 받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정체성을 부여받게 되고 경제적 지위도 향상됩니다. 엘라 왓슨이 청소부였던 1942년 미국 북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남부에서 차별대우를 받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는 다르게 청소부로서의 자부심을 품고 있었습니다.

왓슨의 심적 구조를 해석하는 <미국 국기앞에 빗자루와 걸레를 들고 서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부 엘라 왓슨>은 왓슨이 들고 있는 빗자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배면에 걸린 성조기는 초점에서 벗어나 윤곽이 흐리게 보입니다.

<미국 국기앞에 빗자루와 걸레를 들고 서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소부 엘라 왓슨>은 왓슨이 미국 사회 청소부로서의 대상이 되어서 끌어낸 시민성에 귀착한 감성을 보입니다. 즉 청소부로 한정된 사진 이미지는 미국 사회에서 시민권을 가진 왓슨의 삶을 청소부의 표상으로 귀착합니다.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기도하는 수도승>, 1955 Photo by Gordon Parks ⓒThe LIFE Picture Collection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기도하는 수도승. 1955>

초기 베네딕트는 예수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동방적인 수도와 청빈·정결·복종으로 한 계율로써 서유럽의 문화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로마적 정신에 따른 베네딕트 수도원 규범은 크리스트 문명을 보존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것은 기도를 통해서 영적 하나님과의 대화로써 하나님의 뜻을 좇아 살기를 바라는 수도승이 수도원에서의 공동생활을 하게 했습니다.

수도원에서의 기도는 공동생활과 이분된 기도의 이중적 의미를 찾아갑니다. <베네딕트 수도원에서 기도하는 수도승>에서 고든 파크스는 기도하는 뒷모습의 수도승을 지각하게 하여서 수도생활에서 드러난 기도 의식을 보입니다.

그는 기도하는 수도승의 뒷모습을 표현하여서 기도의 대상인 하나님을 인식하는 자리를 찾게 합니다. 이것은 사진의 피사체로서 수도승이 주체로한 기도의 모습을 통해서 수도원의 공간을 헤아리게 합니다. 그것은 자우대칭적 사진의 조형성으로 한 기표적 구성체계로써 기의적 기도가 우선하는 가치를 보입니다.

이렇게 파크스는 수도원의 조형적 가치를 그의 사진과 교환하여서 그 사진을 보는 이에게 그 수도원의 시간에 중첩된 기도를 따라 하게 합니다.

 

글. 사진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가 & 문화디자인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