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 현대미술로 보는 문화칼럼: 문화평론가, 현대미술평론가 & 문화칼럼니스트(Culture columnist) 최철주 문화칼럼: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현대미술 회화의 시도: 라캉의 환상공식($◇ɑ); <morning glory 2021-h>
문화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평론 및 한국현대미술 평론가의 라캉 디자인 방법론적 문화평론 (웹사이트: newsmanwha – 문화칼럼): Lacan's Design Methodological Criticism of Choi Chul-joo's Cultural Review and Korean Contemporary Art Review (Website: newsmanwha - Culture column)
- 만화디자이너, 문화저널리스트 & 현대미술가 최철주의 페인팅 & 웹툰 디자인 작품 Cartoon designer, Cultural journalist &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s Painting & Webtoon Design Works
![](https://blog.kakaocdn.net/dn/WXUb7/btrk5XDtnW9/KjzRIwcQNHmZhCkzc9kGGK/img.jpg)
라캉의 상징적인 것은 실재의 존재를 기반으로 한 시각적 문화를 은유하는 상징계의 범주로써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시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적 문화의 욕망적 형상이 은폐된 의미로서의 라캉의 실재는 무의식적 구조다.
라캉적 의미작용을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를 발생하는 회화의 실재로서 <morning glory 2021-h>를 이해함으로써 무의식의 또 다른 실재로서 동시대의 사회 문화적 욕망을 상징하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라캉의 무의식 형상은 언어의 연쇄에서 형성된 불완전하고 왜상적 이미지가 출현하는 효과다. 이것은 라캉의 욕망그래프에서 기표이미지의 의중운동을 통해 환유공식에 기표(S)에 형상을 대입하여서 생성한 의미(s)를 밝혀서 정한다.
시각적 문화 형상의 환유는 기표이미지와 기표이미지의 구조를 연결하여서 반복하여 왜상적 이미지 즉 결핍된 형상에 대한 의미작용의 저항으로한 의미작용을 안하는 것을 대신하여 의미작용으로 타자의 욕망이 등장시킨다. 이것은 라캉의 욕망그래프에서 소쉬르의 연산식(의미의 미출현)과 동일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tc8Gf/btrk6MVJqml/qzJxH0ABP20uS1m853omH1/img.jpg)
Chul-joo_Choi, morning glory 2021-h, 131X16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여기서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을 <morning glory 2021-h>에 대입하면 기표이미지로서 나팔꽃과 기표이미지로서 고양이를 연결해주는 의미의 효과는 나팔꽃을 하늘에 올려서 풍경을 만들고 고양이를 육화(incarnation)하여서 물고기를 타자의 욕망으로 한 오브제로 정하고 그림자속에 왜상적 물고기를 오브제ɑ로 음영화한다. 여기서 고양이를 타자의 욕망으로서 물고기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막대기(-)의 유지와 합동(=˜ ) 한다.
<morning glory 2021-h>에서의 고양이를 의미가 미출현하는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고양이로 한 타자의 욕망은 물고기를 잡으려는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한다. 이것은 시각적 문화 공간에서 보이는 물고기의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물고기로 수면에 비춰진 형상을 스크린으로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u34ga/btrk17NmPvW/vakLJEtgKKaX1iwA9utqNK/img.jpg)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라캉의 환상공식에서의 환상은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내어서 우리가 시각적 문화 공간을 일관되고 의미 있는 것으로 타자의 욕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형상의 틀을 제공한다.
따라서 라캉적 회화의 시도는 시각적 문화 공간에서 의미작용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선 존재한 공간을 무의식적 언어처럼 동시대의 사회 문화적 욕망을 상징하는 의미를 구성하여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v0dIx/btrk9rXBx1X/7ALudEUMWgoC3Jao9fwEe1/img.jpg)
글. 문화칼럼니스트 최철주 (문화평론가 & 문화디자인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