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화칼럼/문화평론: 현대미술로 보는 문화칼럼: 문화평론가, 한국 현대 추상 화가, 현대미술작가, 현대미술평론가 & 문화칼럼니스트(Culture columnist) 최철주 문화칼럼: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

by 루이 최 2022. 3. 4.

문화칼럼/문화평론: 현대미술로 보는 문화칼럼: 문화평론가, 한국 현대 추상화가, 현대미술작가, 현대미술평론가 & 문화칼럼니스트(Culture columnist) 최철주 추상 화 문화칼럼: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현대미술 회화의 시도: 페인팅으로 타자의 욕망을 끌어내는 문화의 시각적 의미

문화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평론 및 한국현대미술 평론가의 라캉 디자인 방법론적 문화평론 (웹사이트: newsmanwha – 문화칼럼): Lacan's Design Methodological Criticism of Choi Chul-joo's Cultural Review and Korean Contemporary Art Review (Website: newsmanwha - Culture column)

- 현대 화가, 문화저널리스트 & 현대미술가 최철주의 페인팅 & 웹툰 디자인 작품= Modern painter, Cultural journalist &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s Painting & Webtoon Design Works

미술평론: 최철주“나팔꽃” 개인전: 라캉의 오브제ɑ와 피카소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한 최철주의 <나팔꽃> 뉴욕 개인전/ NewYork Exhibition: Chul-joo Choi's "morning glory": Exhibition of Chul-joo Choi's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2022년2월23일 수요일 한국일보(THE KOREA TIMES) New York 전자신문 A5(면) 전면광고

<morning glory>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형식의 쓰레드 페인팅이다.

뉴욕에서 최철주 1번째 개인전은 Flushing Town Hall에서 개최되었다.

최철주의 쓰레드 페인딩으로 한 전시 작품은 화폭에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역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넓힌 형상이다

그 형상의 의미는 나팔꽃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재를 천의 가역광의 색깔로 꾸며진 타자의 욕망을 구조화 한 것이다.

따라서 쓰레드 페인팅의 구조화는 나팔꽃의 정해진 자리에서 발묵적 우연성 구조의 존재, 즉 순간적인 시간성의 일치에 의존하는 나팔꽃의 자리다.

그 자리는 나팔꽃의 이미지를 천속에 만들어서 교직된 천의 이미지를 가역적인 빛의 음영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 시간성으로 변형된 평면적 나팔꽃과 대기를 묘사한다.

그 자리에 여러개의 방향으로 조명하여서 지난 시간의 존재했던 형상을 무의식적 형상으로 되돌려서 실재의 형상에 가역된 이미지를 하나의 시간성에 따라 중첩하지 못하고 통합된 의미로 중첩한다. 아나몰포시스 이미지(anamorphosis image)로 한 오브제ɑ는 라캉의 회화적 이미지가 비재현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相似)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가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라캉의 오브제ɑ는 특히 형태적 구조에서 양감과 그림자를 소거함으로써 물리적 구조를 명확하게 드러낸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응시’로써 오브제를 분석하는 것으로 시각적 재현의 형태를 다른 시점에서 오브제의 것과 그 오브제를 인식적 재현의 형태로 본다.

피카소 그림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anamorphosis image)로서의 오브제는 라캉의 오브제ɑ와 동일하게 응시로써 보이는 왜상(歪像)적 이미지다.

이것은 라캉의 오브제ɑ로서의 왜상적 이미지와도 무관하지 않다. 라캉의 오브제ɑ는 회화의 비실재적 시각 이미지의 차원을 넘어선다. 이것은 빛에서부터 드러난 형태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는 시간의 순간적 시점에서 구성된 것으로써 시간성과 존재성을 갖는다. 그것은 평면이든 입체든 무관한 응시영역으로한 라캉 이론체계에서 타자의 욕망으로 생성된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빛으로 집적된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를 택함으로써 원근법적 밀도와 하나의 광원적 시점에서 형성되는 양감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오브제는 가역광과 겹쳐진 콜라주와 같은 부분적인 이미지가 동시에 노출되는 왜상적 형태로써 공간에 존재한 것임을 말한다.

그러나 형상은 의미로 보이지 않고 순간적으로 가역된 여러개의 밝은 색조로 이미지 배경의 자리를 잡는다.

이것은 시간성의 자리 즉 하늘 이미지가 구름과 비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것처럼 시간의 하나의 순간에 시간의 정한 빛의 자극으로 보이는 형상이 다른 이미지다. 즉, 그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취된 무한하고 지속적인 존재의 장소에서 가져간 지난 시간의 빛에 의한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이 공존하는 추상적 현상이 현존하는 가역된 시각적 구조다. 그 구조에서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이미지의 의미론적 인식을 얻는 것은 이미지의 시간적 논리의 존재다.

따라서 한 공간에서 시각적 가역반응(visual reversible reaction)으로 만들어진 형상은 여러 색으로 중첩된 검은색 또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음영적 이미지다.

그 이미지는 일상의 음영적 형상이 지난 시간의 나팔꽃과 교차한 순간에 자리했던 타자의 이미지가 천으로 구조된 풍경이다.

그 풍경과 대비되는 여백의 어두운 공간은 타자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삶의 그림자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상징하는 언어를 뜻하는 모방적 나팔꽃이며, 나팔꽃의 배경은 라캉의 의미대로 실제가 아닌 공간에서 상징되는 타자의 욕망이 감춰진 미적 구조다. 그리고 그것은 라캉의 의미인 오브제ɑ를 조각해서 순간적인 응시로 보인다.

 

        Chul joo Choi, morning glory 2022-a, 90X114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따라서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 특정한 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영역은 풍경 속에서 시각적으로 기능하는 은폐된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 응시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그 이미지 <morning glory 2022-a>는 라캉의 환상공식에서 현실에 없는 것을 인식하여서 적용시킨 생각이다. 그 생각은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낸 하나의 이미지다.

여기서 응시로 보이는 나팔꽃은 하나의 색깔로 평면화된 왜상적 구조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k-0,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 2021-k-0>은 나팔꽃 줄기를 가역적 빛의 그늘로 지우고 기호화해 의미적 행동의 특정 효과로 타인의 욕망을 발생시키는 기존의 미적 공간으로 돌아가는 언캐니(uncanny)한 측면을 일컫는 라캉의 미술이론으로 그림을 그리는 시도다.

이것은 회화로 한 문화의 영역을 보이는 이미지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에 대한 예술론적 의미다.

그 의미의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다 즉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사물 속에서 현실을 찾아가는 방법인 라캉의 사물과 비슷한 응시로 보이는 어긋난 이미지는 상대방의 욕망을 드러냅니다. 즉, 말하는 무의식에서 그림으로 깨어나 동시대 타인의 욕망을 끌어냄으로써 문화의 시각적 의미를 보여준다.

       글. 문화칼럼니스트 최철주 (문화평론가 & 현대미술 추상화가)

<morning glory> is thread painting in the form of a fabric in which the back is reflected by manual work of an image created with an anamorphosis image, which means the reality of a morning glory.

Chul-joo Choi's first individual exhibition in New York was held at Flushing Town Hall.

Chul joo Choi' painting shows the shape of the thread intersected and shaded in the overlapping fabric, and the location of the picture with reversible reflected rays from the small hole of the fabric to the anamorphosis image.

The meaning of the shape is a structuralization of the desire of the other person decorated with the color of the reversible light of the fabric in the reality of the customary universality facing the morning glory.

 

Therefore, the structuring of thread painting is the place of morning glory that depend on the existence of an implicit structure in the designated place of the morning glory, that is, the coincidence of momentary temporality.

The position creates an image of a morning glory. in the sky and expands the image of the fabric into a reversible shade of light. And described the planar morning glory and atmosphere transformed into temporality.

 

By illuminating the position in several directions, the existing shape of the past time is returned to the unconscious shape, and the images reversible to the real shape cannot be overlapped according to one time, but are overlapped in an integrated meaning.

Assuming that Lacan's painting image is a non-reproducible image, real exists in a virtual anamorphosis image that reproduces reality similarly.

Lacan's object ɑ clearly reveals the physical structure, especially by erasing the volume and shadow in the morphological structure.

This analyzes the object as an invisible 'gaze', and sees the form of visual representation as a form of cognitiv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object as an anamorphosis image of Picasso's painting is a misaligned image that appears as a gaze, just like Lacan's object ɑ.

This is not irrelevant to Lacan's misaligned image as an object ɑ. Lacan's object ɑ is beyond the dimension of the non-realistic visual image of painting.

This is because the anamorphosis image in the form revealed from the light image is constructed at the instantaneous point of time and has temporality and existence.

It is because it is an image created by the desire of the other in the Lacan theoretical system, which is an irrelevant gaze area whether it is flat or three-dimensional.

 

Therefore, by selecting an anamorphosis image integrated into a light, there is no perspective density and a sense of volume formed at a single light source point.

Here, the object exists in the space in a misaligned form in which partial images such as collages overlapped with reversible light are simultaneously exposed.

However, the shape does not appear to be meaningful, and the image is settled in several light shades that are momentarily reversible.

This is a different image in which the position of temporality, that is, the image of the sky, appears to be a stimulus of light set in time at one moment of time, just as clouds, rain, and snow appear.

In other words, it is an image by the light of the past time taken from the place of infinite and continuous existence achieved over time.

It is a reversible visual structure in which an abstract phenomenon in which space coexists exists. In that structure, it is the existence of the image's temporal logic that the artist obtains semantic recognition of the image when painting.

Therefore, a shape created by visual reversible reactions in one space is a shaded image created by superimposed black or reversible light in several colors.

The image is a landscape in which the image of the other, which was located at the moment when the shaded shape of everyday life intersects the "morning glory" of the past time, is structured with cloth.

 

The dark space in the margin contrasting with the landscape is the shadow of life created by the other's desire.

This is an imitated morning glory, which means a language symbolizing the desire of the other, and the background of the morning glory is an aesthetic structure concealed by the desire of the other person symbolized in space, not in real, according to Lacan's meaning. And it looks like a momentary gaze by carving an object, the meaning of Lacan.

 

 

        Chul joo Choi, morning glory 2022-a, 90X114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Therefore, as a visual culture of lacan semantic action, the area of painting in which a specific effect occurs can see an image of the hidden desire of the other person who functions visually in the landscape through instant gaze.

The image <morning glory 2022-a> is a thought that recognizes and applies what is not in reality at Lacan's fantasy formula. That thought is an image that depicts the same shape of unconsciousness and language.

The morning glory, which appears to be a gaze here, is a twisted structure planarized in one color. This is a planar form that can be seen as a consistent morning glory in the painting.

The morning glory is the same as the real(le réel) thing reflected in the mirror, but the shape of the background is not the same.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k-0,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 2021-k-0" is an attempt to paint with Lacan's art theory, which refers to the uncanny aspect of removing and symbolizing morning glory stems into the shade of reversible light to return to the existing aesthetic space that generates the desires of others with specific effects of semantic behavior.

This is an artistic meaning of real and non-realism according to the image showing the realm of culture through painting.

In that sense, real and non-real cannot be selected as visible images that reproduce objects, that is, the painting image that expresses the real image of the object was identified as an image as non-realism.

 

Therefore, a misaligned image that appears to be a gaze similar to Lacan's object, a way to find reality in things, reveals the other person's desire. In other words, it shows the visual meaning of culture by awakening from the unconsciousness of speaking to drawing out the desires of others of the sam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