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평론

설치미술가 최철주|현대설치미술평론 현대설치미술가평론 이미지설치작품평론 Contemporary artwork criticism : Contemporary Art Installation Criticism [3]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ist artwork [2] Contemporary Art Scul..

by 루이 최 2023. 12. 29.

 

설치미술가 최철주|현대설치미술평론 현대설치미술가평론 이미지설치작품평론  Contemporary artwork criticism : Contemporary Art Installation Criticism [3]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ist artwork [2] Contemporary Art Sculpture Symbolic Sculpture & contemporary art sculpture image artwork : Contemporary Artist Louis Choi Chul-joo Installation Art Review &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Design Review of Painting and Sculpture Design: Famous Installation Artist, Contemporary Artist, Abstract Artist, Conceptual Artist Installation Art Painting and Sculpture /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work : Installation of Sculptures in Hansae Museum: Graphic Image Sculptures with Realistic Meaning Structure by Installation Artist Louis Choi Chul-joo 

 

 

 

 

최철주, 욕망적 관점에서 드러낸 부산교육대학교 설치 조형물 이미지의 스케치 

 

 

최철주, 욕망적 관점에서 드러낸 부산교육대학교 설치 조형물 스케치를 반복하여서 순간적으로 출현한 왜상적인 퍼스펙티브 이미지  

 

 

라캉적 조형물 디자인: 예술적 조형물 모색은 조형물의 디자인 환경을 본바탕으로서 인간의 욕망을 향한다.

한새뮤지엄 조형물 설치 관련 부산교육대학교 예산 집행, 기획 및 디자인: 최철주 학예연구사(2016년)

설치 미술가 최철주, 기표이미지의 무의식(inconsicent/unconsciousness) 의미작용 효과(ID')로써 생성된 제작도에 따른 설치된 한새뮤지엄 사인 조형물

 

 

 

조형물을 라캉 오브제ɑ로 현대 개념 설치 미술로 형성하는 욕망 개념 이미지 디자인2

 

 

욕망 개념 이미지의 전시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존재로서 전시테마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은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미술이론을 통한 전시디자인에서 욕망을 억압된 무의식에서 응시로써 실재를 만나기 위해 주체의 불충분함에서 욕망 이미지의 오브제로 드러내는 것이다즉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로서의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고자 타자의 욕망으로 한 오브제로써 상징적 사인․조형물을 포함한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로서 오브제를 드러냄으로 전시테마에 대한 타자의 욕망과 새로운 주체에 결합하면서 상징적 의미를 드러낸다. 여기서 설치된 사인․조형물로서 실재는 박물관 주변 환경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이다. 은폐되었던 상실된 존재로서 오브제로서 전시테마의 의미를 퍼스펙티브 이미지로 드러내기 위하여 실재에서 은폐된 욕망 이미지의 오브제는 눈에서 시작된 또 다른 시선으로써 응시처럼 주체에서 떨어진 시선에서 보이는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이다.   

 

 

존재로서 박물관의 사인조형물로서 욕망 이미지의 오브제를 형성하는 것     

대표적인 전시시설로서 박물관을 상징하는 사인․조형물은 타자의 욕망으로 한 오브제로써 실재에 존재하면서 그것은 박물관을 상징하는 전시테마로서 욕망 개념 오브제와 함께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왜상적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로서 오브제는 실재의 존재를 은폐한다. 그러나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미술이론으로 한 전시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욕망 공식 <D(I...I')d=I(D...D'i)i 통과하면서 전시테마로한 상징성에서 결여된 주체와 퍼스펙티브 이미지에서 분리된 욕망 이미지의 오브제와 동일시함으로써 설치된 사인․조형물로서 실재는 박물관 주변 환경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에서 은폐되었던 상실된 존재로서 욕망 개념 오브제를 만나게 된다. 

By repeatedly applying the concept of imaginary world and desire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i> to the image of the work,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nd reveals its meaning by realizing formabi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이것은 타자의 욕망적 주체로한 욕망 개념 오브제가 주체안에 존재함으로써 타자의 무의식에 억압된 욕망적 퍼스펙티브 이미지는 동시대의 박물관으로서의 사회적 의미 담고 있는 상징성을 띤다. 여기서 사인․조형물이 설치되기 이전에 왜상적 퍼스펙티브 이미지의 스케치는 타자의 욕망으로한 기존의 퍼스펙티브 기표이미지에서 소외과정을 통한 동시대의 욕망에서 대치되어 형성된 다른 욕망 기표 이미지이다. 

그 이미지는 존재로서 왜상적 욕망 기표 이미지를 드러내기 때문에 전시테마로한 다른 왜상적 이미지를 욕망 기표로서 욕망 개념을 언어로한 이미지로서의 스케치를 한다. 

 

Work 사인보드 라캉적 디자인 2. 교육박물관 사인․조형물의 기표언어(평면계획/side-view)와 기표이미지

                                                                                                     (사인․조형물 이미지/sketch)

 

Work 사인보드 욕망 이미지 디자인 2.는 욕망 개념 디자인에서 왜상적 이미지가 실재의 이미지로 보이는 원근법적 시점에서 타자의 욕망적 사유를 통해 타자의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이미지이다.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난 사인․조형물의 질료가 실재라고 한다면 사인․조형물의 이미지는 욕망 개념을 전시디자인으로 생성된 전시공간의 상징적 이미지이다 즉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미술이론을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로 통과하여 타자의 욕망에서 드러난 왜상적 이미지가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실재의 재료를 질료이다. 이것은 욕망 개념 디자인으로 형성된 전시공간으로서 뮤지엄을 상징하는 퍼스펙티브 이미지이다. 이 퍼스펙티브 이미지는 욕망 공식 <D(I...I')d=I(D...D'i)i> 에 따라 타자의 욕망으로한 왜상적 이미지로서 평면계획이 전시공간의 새로운 퍼스펙티브 욕망 기표 이미지(I')의 실재로한 사인․조형물로 치환하는(D/D') 의미작용의 효과(ID')이다.

 

 주변 환경과 동일시하려는 욕망 개념 디자인에서 조형물은 주변 환경에서 인지적 변화가 일어나고 그 변화된 퍼스펙티브 이미지가 주변 환경에 포함된 표상적 이미지로 재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욕망 개념 이미지의 오브제가 순간적으로 욕망 개념 전시공간을 상징하는 조형물에 드러내면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존재되었음을 말한다.

그것의 형성은 욕망 공식 <D(I...I')d=I(D...D'i)i> 에 따라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가 다른 퍼스펙티브 이미지와 연결하면서 생성된다. 여기서 소외과정은 타자의 욕망을 어떻게 퍼스펙티브 이미지로 생성할 것인가를 스케치로 구상하고 무의식으로 사라진 전시테마로서 주체를 욕망 공식 <D(I...I')d=I(D...D'i)i>에 반복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사인․조형물로서 오브제를 왜상적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로서의 오브제로 치환한다.

욕망 개념 전시디자인의 오브제를 주체로 한 전시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 소외과정을 거쳐서 타자의 무의식의 욕망적 관점에서 기표언어인 평면계획에서 기표 이미지로서 스케치를 통해서 욕망 개념 전시디자인의 사인․조형물을 설치한다. 이것은 결과로한 욕망 개념 전시디자인의 오브제는 실재로서의 질료와 존재로서의 실재에서 분리된 왜상적 욕망 이미지가 사인․조형물의 퍼스펙티브 이미지로서 동일시된 것이다. 

 

Work 사인보드 욕망 개념 디자인 3:  최철주, 욕망 개념 이미지의 스케치로 형성된 전시공간에서 왜상적 욕망 이미지로서 오브제가 타자의 무의식 안에 은폐되어 사라지는 순간  

   

욕망 개념 디자인3에서 조형물 이미지는 실재에서 분리된 왜상적 이미지는 무의식에 존재한다. 이것은 사인․조형물의 상상계적 전시디자인 구조에서 분리되어 존재로서의 욕망 개념 오브제를 드러내기 위해서 최철주의 욕망 개념 추상미술이론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를 통과하여 사인․조형물을 디자인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한새뮤지엄 주변 환경에서 사인 기능에 국한된 상징성을 탈출하기 위해서 타자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응시를 통해 존재로서 욕망 개념 오브제의 퍼스펙티브 이미지를 만나기 위한 전시공간 디자인이 욕망 개념 디자인3이다.      

욕망 개념 디자인3는 주체로서의 전시테마를 타자의 응시로 한 퍼스펙티브의 기표 이미지를 드러내는 것이다. 전시공간에서 기존에 드러난 퍼스펙티브의 기표 이미지는 타자의 욕망에서 드러난 실재로서의 '오브제'이다. 이 오브제의 형상은 또 다른 실재로서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에서 존재적 의미를 생성한다. 이렇게 타자의 욕망적 응시에 기반을 둔 전시테마로서의 왜상적 이미지는 타자의 무의식적 억압에서 표출된 퍼스펙티브 이미지를 스케치로 한 실재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로 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은 욕망 개념 디자인3에서 대중적 요구의 선택적 의미로써 수용이 전제됨으로써 디자이너가 환유를 통한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에 대한 고착에서 벗어남으로써 새로운 퍼스펙티브의 기표 이미지를 응시하게 된다.      

욕망 개념 디자인3의 조형물은 전시공간을 배경으로 한 퍼스펙티브 이미지의 실재이다. 전시공간의 주변 환경으로 인하여 조형물이 감춤과 드러남의 순환적 이미지로서 존재성을 형성한다. 이것은 인접한 대나무 숲을 배경으로 한 실재로서 퍼스펙티브 이미지는 응시적 시점에서 대나무에 간격사이로 보이는 존재로서 욕망 개념 오브제의 퍼스펙티브 이미지로 전이한다. 마치 실재계에서 환유가 이어지면서 퍼스펙티브의 왜상적 이미지를 순간적으로 만들어낸다. 이것은 한새뮤지엄의 파사드에서 경사진 면을 감추면서 사인물의 기표언어로서 상징성을 말한다. 즉 조형물의 상징적 의미를 기표언어로서 실재를 만나기 위해서 심벌서체(한새뮤지엄)의 의미를 강조한다. 이것은 주변 환경과 동일시 되면서 퍼스펙티브 이미지로서 조형물과 주변 환경을 동일한 퍼스펙티브 이미지로 형성하는 환유적 의미이다. 


평면적 재현 이미지는 오브제를 복재적 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예술 작품으로서의 원본성은 사라진다. 이것은 평면적 디자인의 원본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욕망 개념 디자인3은 공간적 개념으로 한 욕망 개념 이미지의 전시 과정과 그 결과로서 형성된 조형물이기 때문에 존재로서의 원본성을 갖는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으로 한 기존의 조형물에 대한 소외과정을 통해 전시테마로서 퍼스펙티브 이미지를 보는 의미로서의 오브제는 순간적으로 존재되었다가 무의식 영역으로 사라진다. 이렇게 사라진 오브제를 최철주 욕망 개념 디자인3으로 전시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욕망 공식 <D(I...I')d=I(D...D'i)i> 에 따라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와 새로운 퍼스펙티브 이미지 디자인의 연결구조(D...D')에서 연쇄화 후 드러난 욕망 개념 전시디자인의 결핍 즉 무의식으로 사라진 욕망을 욕망 개념 디자인3에서 의미작용의 효과(ID")로 한 타자의 무의식에서 욕망적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를 스케치 하여 새로운 퍼스펙티브 욕망 개념 이미지로 생성한다.

이것을 욕망 공식 <D(I...I')d=I(D...D'i)i>에 따라 원래 기표로 한 퍼스펙티브 이미지가 다른 퍼스펙티브 욕망 기표 이미지로서의 오브제로 대치되면서(D/D') 원래의 기표이미지(I)로써 퍼스펙티브 이미지가 기의(i)로써 새로운 퍼스펙티브 이미지로서의 왜상적 욕망 이미지 즉 욕망 개념 오브제가 된다. 이것은 Work. 5. 4에서 왜상적 퍼스펙티브 이미지가 Fig. 5.3 스케치에서 존재로서 욕망 개념 오브제로 전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철주 욕망 개념 추상미술이론을 전시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욕망 구조와 은유과정에 따라 전시공간의 조형물 설치에 따른 전시디자인은 욕망 공식 <D(I...I')d=I(D...D'i)i>에 따라 기존의 전시공간 퍼스펙티브 이미지와 타자의 욕망으로한 새로운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을 디자인한 연결구조(D...D')에서 연쇄화 후 이것을 기존의 퍼스펙티브 이미지에서 타자의 욕망으로한 하나의 기표 욕망 이미지로서 스케치가 새로운 퍼스펙티브 욕망 개념 이미지로서의 조형물로 대치되면서(D/D') 타자의 욕망으로한 퍼스펙티브 욕망 이미지(i-욕망 개념 스케치)가 전시공간의 새로운 기의(ID'-조형물)가 생성된다. 

이것은 기의로서 교육박물관에서 한새뮤지엄으로 전이 되면서 욕망 공식 <D(I...I')d=I(D...D'i)i>에 따라 타자의 욕망으로한 왜상적 이미지로서 욕망 개념 스케치가 전시공간의 새로운 퍼스펙티브 욕망 기표 이미지의 실재로한 조형물로 치환하는(D/D') 의미작용의 효과(i)이다. 이것은 전시공간에서 새로운 조형물을 형성하는 욕망 개념 스케치가 디자인을 통과해서 욕망 개념의 조형물과 통합한다.

 

 

Work 6.28  한새뮤지엄 파사드 기표 이미지의 의미작용 효과(i)로써 스케치로 생성된 사인 조형물로서 욕망 개념 스케치로 한 욕망 개념 조형물로서 욕망 기표 이미지의 오브제       

   

 

이것은 욕망 개념 디자인3에서의 파사드의 퍼스펙티브 스케치는 욕망 기표 이미지로서 정면도과 측면도(front-view, side-view)에서 기의로서 한새뮤지엄의 조형물로 전이된 또 다른 실재로서 사인․조형물의 생성은 욕망 이미지로서 스케치가 다른 욕망 기표 이미지로서 사인․조형물로 대치되면서(D/D') 원래의 기표이미지로서 스케치가 기의로서 사인․조형물이 치환된다. 여기서 퍼스펙티브 가표이미지가 다른 기표로서 사인․조형물로 치환하는(D/D')되면서 새로운 퍼스펙티브 이미지의 실재로서 사인․조형물을 형성하는 것처럼 실재로서 욕망 기표로서 개념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욕망 공식을 통과하여서 두 개의 기표가 일치하면서 합동(coïncidence)한다.  /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설치미술가 & 문화디자인박사)

 

Choi Chul-joo, an installation art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