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Art Review News- Reading New Works: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8]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욕망 개념의 추상화 디자인 프로세스, The artwork posted on Facebook: Modern Art Artist Louis Choi Chul-joo Conceptual Abstract Work Criticism: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s Contemporary Art - Conceptual Art, Abstract Art, Pop Art, Cartoon Criticism/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work ( https://opensea.io/Louisland ) review: Louis Chul-joo Choi, a pond reflecting the image of one's present desires-sketch 3,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Louis Chul-joo Choi, a pond reflecting the image of one's present desires-sketch 3,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현재의 욕망을 반영하는 연못
최철주의 욕망 이미지는 하나의 대상이며, 욕망을 명시하는 시사 뉴스의 통시적 욕망으로서 추상적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연못에 비친다.
그 연못에서 비친 오브제가 스스로의 욕망에 지배되어서 그 욕망의 주체를 잃어버린 실재로 명시된 물리적 구조는 연속되는 욕망의 현상적 주체 이미지로서 통시적(diachronic) 욕망을 대리한다.
최철주 욕망 공식을 통해 통시적 욕망에서 미적 구조를 디자인하고 적용함으로써 현상적 주체, 즉 존재로서의 실체적 객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표 이미지로 보여준다. 통시적 욕망의 경로는 욕망 공식을 적용하여 욕망 구조의 추상적 디자인부터 실제 이미지의 설치까지다.
이것은 시각영역에서 존재로서 욕망 이미지를 실재 이미지로 인지하여서 타자의 무의식의 욕망적 관점에서 오브제로서 사건 이미지를 뉴스로 전달하고, 그 오브제를 존재로서 현상적 이미지로 인지한다.
여기서 거울 구조의 연못에서 현상적 이미지의 주체를 추상화하는 존재는 언어적 의미에서 기표 이미지로 분열해서 사회적 가시성이 결핍된 욕망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그 이미지는 지속적인 욕망의 조각이 사회 구조에 반영된 연못에서 구성된다. 그 연못의 수면은 거울처럼 현실의 이미지를 반영한다. 이는 이상적인 미적 구조로 타자의 욕망을 추상화하여 재현하고자 하는 현대 사실주의 회화의 이미지로 인식한다. 이것은 연못에서 사건과 공연의 현장을 반영하고 타인의 욕망을 현실과 함께 보는 주체로서의 자아의 욕망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다.
따라서 욕망을 연결하는 욕망 개념의 추상적 디자인 과정과 미적 구조로서의 현상적 이미지의 설계를 통해 최철주의 추상적 디자인 과정을 적용하여 욕망의 개념을 실제 이미지로, 타자의 욕망 속에서 드러나는 왜곡된 이미지를 동일한 욕망 개념으로 표현한다.
근대까지 종교적 제약에 중첩된 르네상스 시대의 과학적 사고에서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Leon Battista Alberti)의 회화론 즉 원근법적 구성으로 한 피사체의 비례와 개념에서 연속된 동시대의 추상적 욕망 개념을 다자인한 것이 최철주의 욕망 공식이다. 이것은 현대 이상적 추상과는 다르게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를 그의 추상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알베르티의 원근법을 회귀하여서 욕망 구조를 실재 이미지로 구현한다.
욕망 구조의 실재 이미지는 타자의 욕망에서 응시하는 추상적 공간에서 사건 이미지를 오브제로 응시영역에서 순간적으로 욕망 구조와 동일시됨으로써 인지하게 된다. 이것은 은폐된 타자의 무의식에 억압된 욕망이 표출한 것이다. 이렇게 인지하게 되는 오브제의 시각적 특성은 존재성과 추상성이다.
응시적 이미지로서 오브제의 연속적인 형태와 욕망의 구조의 불변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욕망의 개념으로 인식될 때 순간적인 이미지로 응시된다. 그 욕망의 오브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배경으로 나타나지만 그 실체는 변하지 않고 응시하는 시점이 왜곡된 이미지로 보이도록 전이된다. 최철주의 추상적 디자인 과정은 빛의 가역적 그림자 속에서 만들어진 욕망의 오브제을 타인의 욕망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욕망의 개념에서 비롯된 시선으로 보는 왜곡된 이미지로 이를 실현한다.
여기서 왜상적 이미지로서 <나팔꽃>은 욕망의 배경으로서 욕망의 구조를 말한다. 따라서 그림의 배경이 아니라 욕망의 한 조각으로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데생 <아르노 풍경>처럼 풍경을 하나의 주체로서 <나팔꽃>은 실제로 보이는 욕망을 나타내는 배경이다. 이 개념적 추상화는 욕망의 시선에 집중하기 위해 오브제를 평평한 구조의 실제 공간과 정렬하여 평면적으로 왜곡한다. 그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에서 사건과 공연의 이미지는 만화 이미지로서의 '나팔꽃'과 가역적인 빛의 그림자 속 사건 이미지로 동일한 평면 구조로 그려지고, 이를 사건 이미지와 겹칩니다. 또한 현존재하는 욕망의 이미지에 비친 연못을 가역적인 빛의 음영으로 장식하여 주체로서의 욕망의 자리를 꾸민다.
연못에 비친 이미지를 주체로 형성하는 존재 속의 욕망 개념은 기존 공간 구조에서 오브제로서의 욕망 개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헤겔의 존재(Existenz)로서의 추상적인 부존재를 실현하는 주체로서의 비자발적 부지불식간의 욕망 구조 이미지다.
추상적 비존재로부터 인지적 시선을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욕망의 개념은 사건의 이미지를 시각적 디자인으로 디자인하고 시선 지각을 통해 존재하는 대상의 형성적 미적 가치를 형성하는 대상으로 인식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이미지는 현대의 미적 가치를 드러내고 타인의 욕망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미지의 실체를 해석한다. 이는 욕망 구조의 영역에서 타자의 시선에 의해 오브제를 생성하는 과정을 추상적인 디자인에 적용하고, 그 결과 오브제와 욕망 오브제의 현실에서 분리된 타자로서의 욕망 이미지를 왜곡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의 욕망 구조를 드러내는 으브제를 형성하고 인식 가능한 다른 기존 이미지로 전이한다. 여기서 시간성은 현존재의 시각적 구조를 형성하는 실제 이미지를 가역적인 빛의 음영으로 이끌어 가역적인 공간 구조를 확보한다.
새로운 수학적 도형 구조는 욕망 개념의 결과로 미적 구조를 디자인하려는 추상적인 최철주의 욕망 공식이다 그 추상적 욕망의 개념은 사건의 이미지 속에서 타인의 욕망에 대한 미적 의미를 가질 때 욕망을 실현하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타인의 욕망 구조를 의미한다./글. 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 (문화디자인박사)
Louis Chul-joo Choi, a pond reflecting the image of one's present desires-sketch 3,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4
a pond reflecting the image of one's present desires
Choi Chul-joo's image of desire is an object, and it is reflected in the pond as an image representing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as a diachronic desire of current affairs news that specifies desire.
The physical structure specified as a reality in which the object reflected in the pond is dominated by its own desire and the subject of that desire has been lost represents diachronic desire as a phenomenal subject image of continuous desire.
It shows the process of being formed as a phenomenal subject, that is, a real object as a being, as a signifier image by designing and applying an aesthetic structure from diachronic desire through the Choi Chul-joo Desire Formula. The path of diachronic desire is from applying the desire formula to the abstract design of the desire structure to the installation of a real image.
This recognizes the image of desire as a being in the visual domain as a real image, delivers the event image as an object to the news from the perspective of unconscious desire, and recognizes the object as a phenomenal image as the presence.
Here, the existence of abstracting the subject of a phenomenal image in a pond with a mirror structure divides into signifier images in a linguistic sense, creating an image of desire that lacks social visibility. The image is formed in a pond where a continuous sculpture of desire is reflected in the social structure.
The surface of the pond reflects the image of reality like a mirror. This is an ideal aesthetic structure, and the desire of others is abstracted and recognized as an image of modern realism painting to reproduce. This is an image created by the desire interaction of the self as a subject who reflects the scene of events and performances on the pond and sees the desire of others with reality.
Therefore, through the abstract design process of the concept of desire connecting desires and the design of phenomenal images as an aesthetic structure, Choi Chul-joo's abstract design process is applied to appear the concept of desire as a real image and a distorted image revealed in the desire of others as the same concept of desire.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is a multilateral version of Leon Battista Alberti's concept of contemporary abstract desire from the proportion and concept of a subject as a perspective composition in Renaissance scientific thinking overlapped with religious constraints until modern times. Unlike modern ideal abstraction, this embodies the structure of desire as a real image by regressing Alberti's perspective with a shade of reversible light through his abstract design process.
The real image of the desire structure is recognized by instantaneously identifying the event image with the desire structure in the gaze area as an object in the abstract space staring at the other's desire. This is expressed by the desire suppressed by the unconsciousness of the other pers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that are perceived in this way are existence and abstraction.
As a gaze image, the continuous shape of an object and the immutability of the structure of desire are stared at as a momentary image when it is perceived as the same concept of desire over time. The object of desire appears in a different background as time passes, but its reality does not change, but the point of time when it stares at it is transferred to make it appear as a distorted image. Choi Chul-joo's abstract design process realizes this as a distorted image seen as a gaze from the concept of desire to gaze at the object of desire created in a reversible shadow of light as the desire of others.
Here, as a distorted image, "morning glory" refers to the structure of desire as the background of desire. Therefore, not as a background of the painting, but as a piece of desire, "morning glory" as a subject of the landscape, like Leonardo da Vinci's De saint "Arno Landscape", is a background that represents visible desire in real. This conceptual abstraction distorts objects flatly by aligning them with real space in a flat structure to focus on the gaze of desire. In the linguistic sense of the concept of desire, the image of events and performances is drawn in the same flat structure, that is, "morning glory" as a cartoon image in a reversible shadow of light, and overlaps it with an event image. In addition, the pond reflected in the image of desire in the presence is decorated with a reversible shadow of light to create a place of desire as a subject.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presence, which forms the image reflected in the pond as the subject, is an image of an involuntary desire structure as a object who realizes the abstract non-existence as Hegel's Existenz, who directly relates to the concept of desire as an object in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Through the process of perception of cognitive gaze from abstract non-existence, the concept of desire is recognized as an object that designed the image of an event as a visual design and forms the formative aesthetic value of the object that exists through gaze perception. The image formed in this way reveals the aesthetic value of the contemporary time and understands the reality of the image through the concept of desire of others.
This is to apply the process of creating an object by the gaze of the other in the area of the desire structure to abstract desig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other's desire as an object, and as a result, form an object as a distorts desire image as another being separated from the reality of the object and the desire object. Therefore, it forms an object that reveals the desire structure of the other and transitions to another recognizable existing image.
Here, temporality secures a reversible spatial structure by leading real images that form the visual structure of existence to reversible shadows of light.
The new mathematical figure structure is abstract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an abstract formulation for designing aesthetic structures as a result of the concept of desire.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represents the desire structure of others as an abstraction that actualizes desire when it has an aesthetic meaning for the desires of others in the image of an event. / Writing. Choi Chul-joo, a contemporary art critic (Doctor of Cultural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