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현대미술평론, 현대미술가평론, 현대미술작품평론 Modern Art Criticism [25]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 is a contemporary art critic who examines the aesthetic values, processes, and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nd approaches the meaning of a work with the theory of visual art. Picture-speaking language structure is a gaze reality image in which the image of abstract desire seems to be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concept of desire. Art critic Choi Chul-joo approaches the aesthetic value, process, and artistry of contemporary art criticism with the concept of desire abstract design along with contemporary art criticism. His criticism refers to the theory of visual art in which the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pproaches the meaning of a work in the language structure and criticizes the reality of the concept of desire./ Contemporary Art Review with Visual Art of the Story of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 & A modern art review that examines the aesthetic value, process, and artistry of photography, cartoons, art, and design, and approaches the meaning of the work with the theory of visual art: 가역적 하얀 빛에 반사된 연못 내 오브제의 욕망 구조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5-2-Desire structure of objects in a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5
![](https://blog.kakaocdn.net/dn/cBxz7t/btsL92DUAwo/926n8Wxgid9Oolcjw4DNYK/img.jpg)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5-2-Desire structure of objects in a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5
오브제로서의 언어적 표현 이미지는 문법적 문장 해석과 무관한 단어를 이벤트 이미지로 나타내는 추상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문법은 추상적인 비언어적 행동에 논리적 의미를 부여한다.
따라서 욕망의 개념을 문법적 언어 구조로 해석하려면 언어적 의미의 추상적 기호를 반복적으로 디자인해야 한다.
그 욕망의 개념과 동일한 이미지는 의식과 개념 설계를 통해 명확하게 정의될 때 오브제의 존재로서 이미지를 생성한다.
최철주의 욕망 개념인 "나팔꽃"은 형이상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강조된 언어적 의미의 개념과 충돌하며, 결핍된 욕망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극적인 사건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를 가역적인 하얀 빛의 음영으로 비춥니다. 그는 추상적 욕망 개념의 언어적 문법적 의미를 이미지로 반영하여 중첩된 시간성과 가역적인 하얀 빛의 음영을 공유하는 여러 사건 이미지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것은 18세기 회화의 유물론과 달리, 사건 이미지는 물리적 인식보다는 타자의 욕망이라는 추상적 자아를 넘어 욕망의 결핍이라는 주체로 해석된다.
추상적 욕망 개념의 언어적 문법적 의미는 실제 이미지를 사건으로 간주하는 이원론적 오브제로, 결핍된 욕망의 구조를 공간 구성의 원리와 동일시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빛의 지점에서 가역적인 빛으로서, 그 오브제는 물체로서의 실제 이미지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건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연못 속 추상적 욕망의 개념은 현실 세계에서 다른 사람들의 욕망을 반영하는 실제 이미지로 표출된다.
가역적 하얀 빛에 반사된 연못 내 오브제의 욕망 구조
욕망 개념의 오브제로서, 사건 이미지의 표면 색상 대비 효과와 겹치는 가역적인 빛으로서의 빛 변색은 연못에 투사된 가역적인 빛 속에 숨겨진 욕망을 숨기는 사건 이미지를 반영하며, 욕망 구조의 음영 색을 보인다.
타자의 욕망으로 한 추상적 욕망 개념이 상징적 구조로 결핍된 욕망의 주체를 이룬다.
이것은 주체가 지향하는 이미지를 만들고자 최철주의 욕망 공식에 따라 디자인을 반복하여 상징적 존재에서 분열된 결과로서 사건 이미지를 결핍된 욕망 개념을 주체로서 실재 이미지를 출현한다.
최철주의 욕망 구조에서 반전 가능한 빛의 그림자 속에서 실재의 그림자는 사건 이미지의 시선 방향으로 선 공간에서 상대방의 무의식적인 욕망을 나타내는 현상적 이미지를 귀결된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 개념의 원형 오브제가 빛에 가려져 있기 때문에 오브제 뒤에 생성된 그림자입니다.
가역적인 하얀 빛에 의해 반사된 연못 속 물체의 욕망 구조에서 결핍된 욕망의 주체는 연못에 비친 사건 이미지를 결핍된 욕망의 주체로 구성하려는 추상적 욕망의 개념과 상상적으로 동일시한다.
연못에 비친 사건 이미지는 결핍된 욕망의 개념을 의식적인 움직임으로 표현함으로써 동일한 의미를 지닌 실제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욕망 구조에서 그림자는 타자의 욕망 구조에 결핍된 구성으로 사건 이미지의 조각되어서 음폐된다.
이것은 무의식적 욕망 구조로서 실재의 이미지에서 욕망의 불투명한 원인에서 유발된 행위에 막혀 생성된 그림자다.
![](https://blog.kakaocdn.net/dn/COIC0/btsL92jEygw/T5qbzM74loqD4M2QGUTeSk/img.jpg)
최철주의 욕망 개념에서 고도와 방향이 명시되지 않은 가역적 빛은 시간성에 따른 존재로서의 현실을 보여준다.
사건 이미지의 외상적 이미지를 가역적인 하얀 빛에 반사된 연못 속 물체의 욕망 구조로 식별하는 가역적인 빛의 존재로서의 실제 이미지를 말한다.
이것은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를 나타내는 현실을 가역적인 빛의 음영 이미지로 표현하여 추상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욕망 오브제다.
그 오브제는 사건의 이미지를 식별하는 의식적 움직임과 욕망의 부재를 상징하는 현실을 반복하여 디자인을 통해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를 실제 이미지로 표출한다.
그리고 실제 이미지와 욕망의 주체 사이의 관계를 판단하는 동안 주체는 욕망의 개념을 상상할 수 없도록 실제 이미지로 전이한다. 주체가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욕망 개념으로 돌아갈 수 없는 실제 이미지에서 사건 이미지로서의 욕망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욕망의 현상을 일으키는 오브제는 최철주의 욕망 공식으로 디자인을 연쇄하여서 추상적 욕망 개념의 언어적 의미로서의 실재 이미지를 만들고 그 이미지가 결핍된 욕망이 말하는 의미를 추상한다.
그 음영적 이미지는 지나가는 시간에 멈춰선 존재로서의 하얀 빛이 욕망 배경인 "나팔꽃"의 음영 구조색과 동일한 청색과 녹색 그리고 황색이 배경에 흡수되면서 오브제를 적색으로 연출한다. 여기서 시각체계에서 응시로 보이는 대비효과는 광변된 오브제에서 반사된 색이 연못에 투사된 흡수 스펙트럼 색이다.
이것은 추상적 욕망이 오브제의 고유색에서 욕망 개념이 언어적 의미로서 실재색으로의 변화로서 가역적 하얀 빛의 화학적 반응처럼 나팔꽃의 음영이 욕망색으로서 하얀 빛을 오브제를 특정하여서 욕망을 정의하고 태양 빛처럼 음영의 크기를 왜곡하지않고 평행하다.
따라서 빛의 방향에 관계없도록 평평한 적색으로 표상한다. 그 표상은 빛이 회절한 밝은 그림자는 오브제의 모양으로 왜곡되고 않고 전체 형태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쓰레드 페인팅으로서 수묵기법의 태양 빛을 조명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가역적 하얀 빛에 반사된 연못 내 오브제의 욕망 구조의 오브제로서 사건 이미지가 결핍된 욕망이 말하는 의미를 추상하여서 가역적 태양 빛의 음영으로 이룬 실재가 추상적 욕망을 지탱한다. 그리고 결핍된 욕망 개념을 언어적 의식운동으로서 욕망의 자리를 특정하는 선공간에 존재하는 실재를 꾸민다./글. 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 (문화디자인박사)
![](https://blog.kakaocdn.net/dn/bGdn1u/btsL97ZoC3W/F4JGLYQSbZ2fUFSLjyuG7k/img.jpg)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5-2-Desire structure of objects in a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113X16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5
Linguistic representation images as objects represent abstract meanings that represent words unrelated to grammatical sentence interpretation as event images. However, grammar gives logical meaning to abstract nonverbal behavior.
Thus, interpreting the concept of desire as a grammatical linguistic structure requires the design of abstract symbols in linguistic meaning repeatedly.
Images identical to the concept of desire produce images as the presence of objects when clearly defined through consciousness and conceptual design.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morning glory," conflicts with linguistic concepts of meaning emphasized from a metaphysic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creating dramatic event images to express the subject of insufficient desire, and illuminating the image in reversible shades of white light. He reflects the linguistic grammatical meaning of abstract desire concepts as images to form spaces of multiple event images that share superimposed temporality and reversible white light shades. This is interpreted as the subject of the absence of desire beyond the abstract self of the desire of others rather than physical perception, unlike the materialism of painting in the 18th century.
The linguistic grammatical meaning of abstract desire concepts is a dualistic object that regards real images as events, equating the structure of insufficient desire with the principle of spatial composition. And as reversible light at the point of light over time, the material is made into a real image as an object.
Thus,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in a pond that reflects the image of an event is expressed as a real image that reflects the desires of others in the real world.
Desire structure of objects in a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As an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the light discoloration as a reversible light overlapping the surface color contrast effect of the event image reflects the event image hiding the desire hidden in the reversible light projected into the pond, representing the shadow color of the desire structure like a spectrum.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through the desire of the other constitutes the subject of desire lacking as a symbolic structure.
This is the result of being divided from symbolic existence by repeating the design according to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to create the image that the subject aims for, and the real image appears as the subject with the concept of desire lacking the event image.
In Choi Chul-joo's desire structure, the shadow of rea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results in a phenomenal image as a sign of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other in the line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gaze of the event image.
This is the shade created after the object because the circular object of the concept of the other's desire is hidden by light.
In the object's desire structure in the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the subject of deficient desire imaginatively equates the event image reflected in the pond with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to constitute the subject of deficient desire.
The event image reflected in the pond creates a real image with the same meaning by stating the concept of insufficient desire as a conscious movement.
Here, in the desire structure, the shadow is a composition lacking in the other's desire structure, and the event image is carved and obscured.
This is a shadow created by being blocked by actions induced by the opaque cause of desire in the image of reality as a structure of unconscious desire.
![](https://blog.kakaocdn.net/dn/9XCMk/btsL9p7nPpY/PVGjRgh9UKc2rwnkbRPHOK/img.jpg)
In the concept of Choi Chul-joo's desire, reversible light, whose altitude and direction are not specified, shows reality as a being according to temporality.
It refers to the real image as the existence of reversible light that identifies the traumatic image of the event image as the structure of the desire of the object in the pond reflected by the reversible white light.
This is a desire object that realizes abstract desire by representing reality that represents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concept of desire as a shaded image of reversible light.
The object repeatedly expresses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concept of desire as a real image by repeating the design through conscious movement that identifies the image of the event and the reality that symbolizes the lack of desire.
And while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image and the subject of desire, the subject transitions to the real image so that the subject cannot imagine the concept of desire. It provides the cause of causing the phenomenon of desire as an event image, from the real image that the subject cannot return to the concept of desire as an object of desire.
Here, the object that causes the phenomenon of desire is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repeating the design to create a real image as a linguistic meaning of the concept of abstract desire, and abstracting the meaning of desire lacking the image.
In the shaded image, the object turns red as the white light as a being that has stopped in time is absorbed into the background, and the blue, green, and yellow colors that are absorbed into the morning glory background are the same shaded structural colors as the desire background of the 'morning glory'. Here, the contrast effect visible from the visual system is the color of the absorption spectrum in which the color reflected from the object changing light is projected onto the pond.
This means that abstract desire changes from the natural real color of a real object to the concept of desire as a linguistic meaning, and like the chemical reaction of reversible white light, the shadow of the morning glory defines desire by designating white light as the color of desire, and is parallel without distorting the size of the shadow like the sun light.
Therefore, it is expressed in flat r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light. A bright shadow diffracted by light consists of an overall reversible shade of light, which is not distorted into the shape of an object. This painting is actually painted using the light of the sun as a light, just like an ink-and-wash painting.
Abstracting the meaning of desire that lacks an event image as an object of the desire structure of an object in a pond reflected by reversible white light, the reality in the shadow of reversible sunlight supports abstract desire. Additionally, the concept of lack of desire is linguistic consciousness, creating a reality that exists in the line space that specifies the place of desire./ Writing. Choi Chul-joo, a contemporary art critic (Doctor of Cultural Design)
![](https://blog.kakaocdn.net/dn/bmTD9p/btsMaxwFzZ7/8enTR8vYAiu7hcrQtctJs1/im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