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평론

현대미술가 최철주|현대미술평론 현대미술가평론 현대미술추상화가작품평론 [4]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 | Contemporary Art Criticism, Contemporary Artist Criticism, Contemporary Art Abstract Painter's Works Revi..

by 루이 최 2024. 1. 30.

현대미술가 최철주|현대미술평론 현대미술가평론 현대미술추상화가작품평론 [4]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 | Contemporary Art Criticism Contemporary Artist Criticism Contemporary Art Abstract Painter's Works Review / Contemporary artist review: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s Art criticism of Contemporary painting Artwork & Modern Artist Artwork Design criticism = Modern art Critic / Contemporary artist review: Contemporary Art Critic Louis Choi Chul-joo's Art criticism of Contemporary painting Artwork & Modern Artist Artwork Design criticism: 현대미술가 루이 최철주 현대미술 전시 <나팔꽃> 현대미술 작품 미술평론/ A review of contemporary art works <morning glory> on the exhibition of contemporary art by contemporary art critic and contemporary artist Louis Chul-joo Choi. 피카소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한 현대 추상화가 작품 루이 최철주의 <나팔꽃> 뉴욕 현대미술 개인전/ NewYork Exhibition: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Exhibition of Modern abstract artist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2022년2월24일 수요일 한국일보(THE KOREA TIMES) New York 전자신문 A6(면) 타운 & 피플 게재 기사

 

한국적 색채·현대 어우러진 나팔꽃 연작 선봬

한국 현대화가 최철주 개인전 / 내달 1~8일 플러싱 타운홀 / 현대미술평론서 50여권 집필

Modern artist Chul-joo Choi published in the New York Edition of the New York Electronic Newspaper, "We will display the series of <Morning glory>, which combines Korean color and modernity."

 

Korean modernizer Choi Chul-joo's individual exhibition / It will be exhibited at Flushing Town Hall from the 1st to the 8th of next month / (Louis Chul-joo Choi) Have written more than 50 contemporary art review books.

 

한국 현대 화가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인 최철주(사진) 작가의 개인전이 내달 1~8일까지 플러싱 타운홀에서 열린다.

해외 미술가들과도 소설 미디어를 통한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는 최작가는 ‘나팔꽃’ (Morning Glory)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서 라캉(Lacan)의 ‘object ɑ’와 피카소의 변형(Anamorphosis)의 이미지를 독창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한 나팔꽃 연작들을 선보인다.

100호가 넘는 대작들인 나팔곷 연작에서 작가는 친근한 소재와 한국적 색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이미지를 담아냈다.

작가는 2001년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전시 초대작가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렸고, 이후에 서울시립미술관과 부산시립미술관 큐레이터를 하면서 미디어아트를 시작했다. 2020년 미누현대미술관 ‘미디어아트 개인전’에서 발표된 ‘나팔꽃’을 라캉의 미술이론의 예술적 의미를 소재로 한 쓰레드 페인팅(thread painting)을 제작했다.

‘쓰레드 페인팅’에 대해 작가는 ‘캔퍼스외 마 등을 재료로 대상의 이미를 디자인하고, 그 형태에 맞춰서 전체 구도를 발묵(潑墨)적 우연성으로 정해진 대상의 자리를 정하는 기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작품 활동 이외 라오스 팍세 포도농장을 CEO로서 경영했고, 라캉의 미술이론을 전공한 문화디자인 박사로서 현대미술평론서 50여 권을 집필하면서 미술평론가와 문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에 앞서 서울시청에서 서울문화재단을 기획하고 문화정보기획단연구원·문화위원·서울시 문예지원기금평가위원·문화정보자료실총괄,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시민미술강좌강사 등을 역임하는 등 다채로운 이력을 가지고 있다. 

△장소 Flushing town Hall 137-35 Northern Blvd Flushing, New York  www.flushingtownhall.org

2022년2월24일 수요일 한국일보(THE KOREA TIMES) New York 전자신문 A6(면) 타운 & 피플 게재 기사

한국적 색채·현대 어우러진 나팔꽃 연작 선봬 - 미주 한국일보 (koreatimes.com)

------------------------------------------------------------------------------------------

 

한국 현대 화가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인 최철주(사진) 작가의 개인전이 내달 1~8일까지 플러싱 타운홀에서 열린다.

해외 미술가들과도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활발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는 최 작가는 ‘나팔꽃’(Morning Glory)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서 라캉(Lacan)의 ‘object α’와 피카소의 ‘변형‘(Anamor phosis)’의 이미지를 독창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한 나팔꽃 연작들을 선보인다.

100호가 넘는 대작들인 나팔꽃 연작에서 작가는 친근한 소재와 한국적 색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이미지를 담아냈다.

작가는 2001년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전시 초대작가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렸고, 이후에 서울시립미술관과 부산시립미술관 큐레이터를 하면서 미디어아트를 시작했다. 2020년 미누현대미술관 ‘미디어아트 개인전’에서 발표된 ‘나팔꽃’을 라캉의 미술이론의 예술적 의미를 소재로 한 쓰레드 페인팅(thread painting)을 제작했다.

‘쓰레드 페인팅’에 대해 작가는 “캔버스의 마 등을 재료로 대상의 이미지를 디자인하고, 그 형태에 맞춰서 전체 구도를 발묵(潑墨)적 우연성으로 정해진 대상의 자리를 정하는 기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작품 활동 이외 라오스 팍세 포도농장을 CEO로서 경영했고, 라캉의 미술이론을 전공한 문화디자인 박사로서 현대미술평론서 50여 권을 집필하면서 미술평론가와 문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에 앞서 서울시청에서 서울문화재단을 기획하고 문화정보기획단연구원·문화위원·서울시 문예지원기금평가위원·문화정보자료실총괄,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시민미술강좌강사 등을 역임하는 등 다채로운 이력을 가지고 있다. △장소 Flushing town hall 137-35 Northern Blvd. Flushing, New York △www.flushingtownhall.org2022년2월24일/A6면: 한국일보(THE KOREA TIMES) New York 전자신문/ On Thursday, February 24, 2022, an article published by The KOREA TIMES New York A6 Town & People한국적 색채·현대 어우러진 나팔꽃 연작 선봬 - 미주 한국일보 (koreatimes.com) 

 

 

 

 

 

루이 최철주 <나팔꽃> 개인전: 플러싱 홀, 뉴욕 / Choi Chuljoo's <morning glory> Exhibition: at the Flushing Town Hall, New York

 

 

 

 

 

 

 

루이 최철주 <나팔꽃> 개인전: 플러싱 홀, 뉴욕 / Choi Chuljoo's <morning glory> Exhibition: at the Flushing Town Hall, New York

 

 

 

 

 

 

루이 최철주 <나팔꽃> 개인전: 플러싱 홀, 뉴욕 / Choi Chuljoo's <morning glory> Exhibition: at the Flushing Town Hall, New York

 

 

 

 

루이 <morning glory>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형식의 쓰레드 페인팅이다.

뉴욕에서 최철주 1번째 개인전은 Yeomyeong Hall에서 개최되었다. 최철주의 쓰레드 페인딩으로 한 전시 작품은 화폭에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넓힌 형상이다 그 형상의 의미는 나팔꽃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재를 교직된 천의 공간빛의 색깔로 꾸며진 타자의 욕망을 구조화 한 것이다.

 

라서 쓰레드 페인팅의 구조화는 나팔꽃의 정해진 자리에서 발묵적 구조의 존재, 즉 순간적인 시간성의 일치에 의존하는 나팔꽃의 자리다. 그 자리는 나팔꽃의 이미지를 천속에 만들어서 교직된 천의 이미지를 가역적인 빛의 음영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 시간성으로 변형된 평면적 나팔꽃과 대기를 묘사한다.

그 자리에 여러개의 방향으로 조명하여서 지난 시간의 존재했던 형상을 무의식적 형상으로 되돌려서 실재의 형상에 가역된 이미지를 하나의 시간성에 따라 중첩하지 못하고 통합된 의미로 중첩한다.

아나몰포시스 이미지(anamorphosis image)로 한 오브제ɑ는 라캉의 회화적 이미지가 비재현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가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라캉의 오브제ɑ는 특히 형태적 구조에서 양감과 그림자를 소거함으로써 물리적 구조를 명확하게 드러낸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응시’로써 오브제를 분석하는 것으로 시각적 재현의 형태를 다른 시점에서 오브제의 것과 그 오브제를 인식적 재현의 형태로 본다.

피카소 그림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anamorphosis image)로서의 오브제는 라캉의 오브제ɑ와 동일하게 응시로써 보이는 왜상(歪像)적 이미지다. 이것은 라캉의 오브제ɑ로서의 왜상적 이미지와도 무관하지 않다. 라캉의 오브제ɑ는 회화의 비실재적 시각 이미지의 차원을 넘어선다. 이것은 선에서부터 드러난 형태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는 시간의 순간적 시점에서 구성된 것으로써 시간성과 존재성을 갖는다. 그것은 평면이든 입체든 무관한 응시영역으로한 라캉 이론체계에서 타자의 욕망으로 생성된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으로 집적된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를 택함으로써 원근법적 밀도와 하나의 광원적 시점에서 형성되는 양감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오브제는 콜라주처럼 부분적인 이미지들이 동일한 시간에 드러난 왜상적 형태로써 공간에 존재한 것임을 말한다.

그러나 형상은 의미로 보이지 않고 순간적으로 가역된 여러개의 음영색으로 이미지 배경의 자리를 맴돈다. 이것은 시간성의 자리 즉 하늘 이미지가 구름과 비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것처럼 시간의 하나의 순간에 시간의 정한 빛의 자극으로 보이는 형상이 다른 이미지다. 이것은 그 빛이 시간성의 경과로 이루어낸 무한하고 연속되는 존재의 자리다.

그것은 구체가 공존하는 추상적 현상이 현존하는 가역된 시각적 구조다. 화가가 그림을 그릴때 이미지를 의미적 인식을 얻어내는 그 이미지에 대한 시간성의 구조다.

따라서 시각적 가역반응(visual reversible reaction)은 화가가 여러가지의 색으로 중첩하여 검은색이 되거나 빛이 가려진 시간성의 결과 즉 나팔꽃과 항시적인 본체로서의 그 자리가 공존하는 <나팔꽃>은 나팔꽃 자리의 시각적 가역반응에 따른 순간적인 구조의 이미지다.

그 이미지는 일상의 음영적 형상이 지난 시간의 나팔꽃과 교차한 순간에 자리했던 타자의 이미지가 천으로 구조된 풍경이다.

이렇게 꾸며진 형상의 빛과 대비되는 어두운 여백의 공간은 주재(駐在)로 만들어낸 그림자다. 여기서 실제의 대상적 존재로서 색깔은 응시로 보이는 풍교된 풍습의 단상적 이미지다. 이것은 그 의미는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서 <나팔꽃>은 라캉적 의미의 결과로써 비실재 공간에 기호화된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서의 은폐된 미적 구조다. 그리고 라캉적 의미로서 오브제ɑ의 조각이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j-01-1, 145X183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그 이미지 <morning glory 2021-j>는 라캉의 환상공식에서 현실에 없는 것을 인식하여서 적용시킨 생각이다. 그 생각은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낸 하나의 이미지다.

여기서 응시로 보이는 나팔꽃은 하나의 색깔로 평면화된 왜상적 구조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k-0,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라캉적 회화의 시도로서의 <morning glory 2021-k-0>은 하나의 나팔꽃 줄기를 빛으로 소거하여서 회화에서 대상의 존재를 의미작용의 특정효과로 한 타자의 욕망을 발생하는 선 존재한 미적 공간을 무의식적 언어처럼 회화의 의미를 억압된 것에서의 회귀하려는 언캐니(uncanny)적 양상을 말한다.

이것은 회화로 한 문화의 영역을 보이는 이미지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에 대한 예술론적 의미다. 그 의미의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다 즉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실재를 찾는 방법인 라캉의 오브제ɑ와 유사한 왜상적 이미지로 타자의 욕망을 드러낸다. 즉 말하는 무의식에서 깨어 동시대 타자의 욕망을 그려서 문화의 시각적 의미를 보인다.

 

<morning glory 2021-k-0>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형식의 쓰레드 페인팅다. 즉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넓힌 형상이다 그 형상의 의미는 나팔꽃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재를 교직된 천의 공간빛의 색깔로 꾸민다. 이렇게 꾸며진 형상의 빛과 대비되는 어두운 여백의 공간은 주재(駐在)로 만들어낸 그림자다. 여기서 실제의 대상적 존재로서 색깔은 응시로 보이는 풍교된 풍습의 단상적 이미지다.

이것은 그 의미는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다. 여기서 나팔꽃 이미지는 라캉적 의미의 결과로써 비실재 공간에 기호화된 존재로서의 은폐된 미적 구조의 의미로서 오브제ɑ의 조각이다.

따라서 <morning glory 2021-k-0>는 나팔꽃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형식의 쓰레드 페인팅다. 즉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왜상적 이미지로 넓힌 형상이다. 그 형태의 의미는 나팔꽃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재를 쓰레드 페인팅의 공간빛의 색깔로 꾸민 타자의 욕망이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l, 148X17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라캉의 미술이론이 적용된 대상은 최철주의 나팔꽃이다. 객체의 실제는 시간에 따라 실제 공간이 아닌 여백에 숨겨진다.

이렇게 라캉적 대상으로서의 나팔꽃의 실재가 그 시간성의 변화에 따르는 비실재 공간의 여백이 된다. 그 자리에 그려진 나팔꽃은 빛이 비추는 공간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일치시키고, 거울에 비친 대칭적 비현실 공간의 필연성에 따라 대상을 설정해 대칭적 실공간과 비실재 장소를 동일시 한다, 이것은 대상에 맞춘 이미지의 자리다. 하나의 틈새와 빈칸을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천의 공간이며, 하나의 그림 구조가 천에 그려진 색상과 여러 개의 빈칸인 네모난 실에 겹칩니다. 그 이미지는 대상의 자리가 정한 색채와 형상에 따른다.

따라서 쓰레드 페인팅으로 한 <나팔꽃 2021-l>에서 대상으로서의 이미지의 의미는 그 의미의 색깔로서 대상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제를 빛의 색깔로 꾸민다.

이렇게 꾸며진 형상의 빛과 대비되는 어두운 여백의 공간은 주재(駐在)로 만들어낸 그림자다. 여기에 존재하는 대상은 응시하는 색깔의 외관과 풍습에 익숙함으로 인해 모양이 바뀐 단면적인 형상이다.

<morning glory-2021-l>의 의미는 일상적 삶의 장소에서 멈춘 깨달은 물체의 형상을 빛의 색깔로써 형식을 갖추고 분간하기 어려운 반사적 여백의 색깔을 천과 같은 재료에 그린 그림을 연쇄하여서 하나의 그림을 그려낸 미적 구조다. 여기서 색칠된 그림은 관습에 의해 깨우치거나 제자리에 있을 때 색의 형상으로 현실의 존재의 가치를 풀어낸다.

 

그러나 그림 속 대상의 여백에 감춰진 주체는 그 적시성을 재현할 수 없기 때문에 동시대의 대상에 어울리는 색깔로 보인다. 그리고 옷감 같은 실에 색과 대비되는 색선으로 형상의 윤곽을 정하는 '나팔꽃 2021-l'은 과거 공간의 필연성과 함께 풍습의 친숙함을 담아냅니다. 이것은 회화적인 모방 과정에서 왜곡된 나팔꽃 이미지의 조각들을 반복해서 조합한 디자인을 특징짓는 기호 작용으로 한 의미를 지시한다. 그 의미는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다. 여기서 나팔꽃 이미지는 라캉적 의미의 결과로써 비실재 공간에 기호화된 의미의 조각이다.

나팔꽃의 의미가 고정된 자리는 무의식 욕망에서 분열된 주체로 이어지는 기표 이미디로서 나팔꽃의 디자인 연쇄하여서 분열된 주체와 교차는 두 개의 고정점에 근접한 이미지를 이룬다. 그 고정점에 근접한 이미지의 의미적 기능은 동시성과 공시성이다. 여기서의 동시적 기능은 문장의 의미로서 디자인 개념을 소급적 효과에 의해 실재적 대상을 디자인하여서 완성된 이미지가 <morning glory-2021-l>이다. 그 이미지의 공시적 기능은 언어적 문장에 숨어 있어서 디자인 개념의 근원에서 얻을 수 있는 공시적 구조 즉 거울에 비친 이미지의 대조적인 은유의 이미지가 된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g-2, 135X16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 2021-g-2>는 그 숨은 의미 그대로 삶의 공간과 나팔꽃을 든 닭과 병아리를 풍경 속에 함께 담아내 가족의 존재를 드러낸다. 가족의 현상적 가치를 보이는 실재로서 <morning glory 2021-g-2>은 즉 환영적 비실재를 없애고 사유를 통한 의미의 실재성를 그려낸다.

상징계에서의 회화는 오브제에 대한 계속된 상징적 존재일 뿐이다. 그 존재를 라캉은 초월적 기표(Signifiant)라고 한다.

그러나 <morning glory 2021-g-2>은 상징계의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인 실재로서 가족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그 표현하려는 오브제를 보이지 않고 은폐로서의 가족의 실제적 의미를 닭과 병아리에 비유한다. 즉 보이지 않는 은폐는 상징으로써 의미와 비유하는 상징적 형상은 만든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무의식적 표현은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통해 라캉 이론 체계에서 상징적 타인의 욕망과 비교될 수 있다. 여기서 상징적 타인의 욕망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속에 있는 상징적 세계와 라캉 특유의 이미지의 언어적 의미라는 범주에서 확인됩니다.

따라서 라캉의 은폐된 실재 이미지의 의미는 무의식적 구조다. 보이지 않는 가족의 실재로서 <morning glory 2021-g-2>에서는 볼 수 없는 가족의 실재를 이해함으로써 라캉의 그림에서 상대방의 욕망의 존재를 상징하는 이미지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Louis Chul-joo_Choi, morning glory 2021-h, 131X16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미국 뉴욕 개인소장

 

 

미국 네오다다의 조셉 보이스(Joseph Beuys)는 인위적인 존재 행위, 즉 대상을 다른 물건으로 변형하고 이를 사람으로 예술화해 그 대상이 전체 예술의 대상으로 인식되도록 했다. 이것은 그의 <죽은 토끼에게 어떻게 그림을 설명할 것인가?, 1965>에서 흙, 재생과 부활 그리고 하나의 토끼를 육화(Incarnation)하여서 시각적으로 오브제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각적 체계에서 보이지 않는 회화적 오브제는 라캉의 오브제ɑ와 초현실적 오브제다. 이것은 초현실적 라캉의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이 순간적으로 보이는 왜상적 이미지다. 그것은 인간의 잠재의식에서 파생된 형상으로서 상징적 의미와 원근법적 실제 형상의 의미와는 달리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초현실적 그림의 이원적 오브제다.

라캉의 초현실적 이미지의 의미언어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상징적 세계의 범주로서 확인하는 실재의 존재에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라캉의 초현실적 실재의 의미는 무의식적인 구조입니다. 그림의 실체를 이해함으로써 <나팔꽃 2021-h-back>은 시각예술에서 또 하나의 무의식적인 실체가 타인의 욕망을 상징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라캉의 무의식적 형상의 실재는 그 이미지의 의미적 언어의 연쇄에서 형성된 불완전하고 왜상적 이미지가 출현하는 효과다. 이것은 라캉의 욕망그래프에서 기표이미지의 의중운동을 통해 환유공식에 기표(S; signifasnt)에 형상을 대입하여서 생성한 의미(s; signifiè)를 밝혀서 정한다.

그것은 연극의 무대처럼 무의식의 구조를 시나리오로 한 이미지를 장치로 구조화하여서 지난 시간의 가역적 빛으로 조명된 기표이미지의 의중운동을 통해 그 시나리오의 의미를 밝혀서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다.

여기서 라캉의 시각예술이론에서의 형상의 환유는 기표 이미지와 기표 이미지의 구조를 연결하여서 반복하여 왜상적 이미지 즉 결핍된 형상에 대한 의미작용의 저항으로한 의미작용을 안하는 것을 대신하여 의미작용으로 타자의 욕망이 등장시킨다. 이것은 라캉의 욕망그래프에서는 소쉬르(Saussure)의 기호적 언어를 수용하지만 의미를 우선한 무의식의 연산식 즉 기표 이미지가 원인이 된 효과로 의미를 출현한다. 

그 의미를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에 적용하여서 <morning glory 2021-h>에 대입하면 기표이미지로서 나팔꽃과 기표이미지로서 고양이를 연결해주는 의미의 효과는 나팔꽃을 하늘에 올려서 풍경을 만든다.

여기서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을 <morning glory 2021-h>에 대입하여서 기표이미지로서 나팔꽃과 기표이미지로서 고양이를 연결해주는 의미의 효과를 낸다. 그 혀과는 나팔꽃을 하늘에 올려서 풍경을 만들고 고양이를 육화(incarnation)하여서 물고기를 타자의 욕망으로 한 오브제가 됨에 따라 그림자속에 왜상적 물고기를 오브제ɑ로 음영화한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e, 114X16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회화에서 오브제를 재현하여 가상적 오브제로써 형성된 이미지(morning glory 2021-e)는 실재를 은폐한 가상적 이미지이다. 가상적 이미지는 평면으로 인지되어짐으로써 가상적 이미지로 보인다. 여기서 라캉 이론체계를 통해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냄으로써 가상적 이미지가 실재가 된다.

라캉의 오브제ɑ는 오브제를 재현하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은폐하고 있으며,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응시로써 순간적으로 드러낸다. 그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존재로서 오브제ɑ를 생성하여 예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서의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낸다. 여기서 존재로서의 은폐된 미적 구조의 의미 오브제ɑ가 창조성과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담고 있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b), 132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2021-b)>는 나팔꽃의 왜상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형식의 쓰레드 페인팅다. 즉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왜상적 이미지로 넓힌 형상이다. 그 형상의 의미는 나팔꽃과 마주했던 풍습적 보편성의 실재를 교직된 천의 공간빛의 색깔로 꾸민다. 이렇게 꾸며진 형상의 빛과 대비되는 어두운 여백의 공간은 주재(駐在)로 만들어낸 그림자다. 여기서 실제의 대상적 존재로서 색깔은 응시로 보이는 풍교된 풍습의 단상적 이미지다. 이것은 그 의미는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다. 여기서 나팔꽃 이미지는 라캉적 의미의 결과로써 비실재 공간에 기호화된 존재로서의 은폐된 미적 구조의 의미 오브제ɑ의 조각이다.

오브제ɑ는 라캉의 예술론에서 원근법적 시각에서 욕망적 사유를 통한 관점에서 ‘응시’로써 드러난 오브제이다. 응시로써의 오브제ɑ는 대상이 주체로서의 타자의 눈에 빛의 점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와 중첩되지만 억압된 무의식에서 욕망적 관점에서 순간적으로 드러난 기표적 이미지이다. 그 응시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공간에서 화면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시선과의 일치나 불일치에 따라 왜상적 이미지를 결정된다.

따라서 오브제ɑ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에서의 비실재적 이미지가 아닌 욕망적 응시체계에서 드러난 존재로서의 은폐된 미적 구조의 의미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d-1,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 2021-d-1>에서의 이미지는 원근법적 시각체계 즉 콰트로첸토(Quattrocento styles)에서 벗어나 있다.

여백과 오브제도 실제가 아닌 그의 상상적 계산에 맞추어 나팔꽃과 배경으로 메우고 있다. 회화의 평면성이 갖고 있는 환영적 이미지를 평면화 시켜서 가역적 시간성의 그림자를 인식에 접근하게 만든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에서 유아의 욕망은 비존재쓰레드한 것임을 확인하는 과정과 일치한다. 그 시간성에 따른 가역적 색조를 모노톤으로 하여서 양감의 단계를 소거함으로서<morning glory 2021-d-1>은 빛의 의한 피사체의 환영적 이미지 즉 콰트로첸토 회화의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팔꽃(morning glory)은 빛의 설정이 없는 반면에 배경을 콰트로첸토 회화의 방식으로 그려져 있다. 이것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실재로서 비존재 하는 것과 이미지 즉 상상계에서 거울에 비친 이미지가 공존하는 것이다. 나팔꽃의 실재를 재현하고 있지만 배경 이미지는 나팔꽃과 동일시하고 있지만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언어구조와 같이 은유적이므로 나팔꽃의 형태와는 동일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실재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나팔꽃과 이미지가 다른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그림자의 의미 구조는 비실재 하는 그림자와는 또 다른 실재로서 오브제이다. 이것은 주체로서 이미지가 아닌 타자의 욕망으로한 존재로서 실재의 오브제이다. 라캉의 상징계로서 <morning glory 2021-d-1>은 실체가 존재하는 환유 속의 개념을 보여준다.

 

 

 

페인팅으로서 <morning glory 2021-d-1>은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넓힌 그림이다. 이것은 우측 배면과 측면에서 비취는 빛을 받은 부분은 실재와 다르게 밝아지고 나머지 이미지는 가역적 빛이 만들어낸 음영적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타자의 욕망으로 한 <morning glory 2021-d-1>에 대한 실체를 드러냄으로써 일상의 이면과 상징적 표상으로 실재의 공간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지각적 측면에서 외형적 이미지로서의 실체로서 보이는 나팔꽃을 배경의 여러개 가역적 빛으로 한 그림자와 대조되어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의 평면성을 보인다. 여기서 <morning glory 2021-d-1>은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비실재적 그래픽의 자리를 넓힌 이미지다. 이것은 우측 배면과 측면에서 비취는 빛을 받은 부분은 실재와 다르다. 이것은 가역된 빛으로 시각적 대상을 이루고 그 대상이 깨어난 이미지로 바뀌도록 밝아지고 나머지 이미지는 여러개의 가역적 빛이 만들어낸 음영적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타자의 욕망으로 한 <morning glory 2021-d-1>에 대한 실체를 드러냄으로써 일상의 이면과 상징적 표상으로 실재의 공간을 만들어냈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a-1), 148X17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라캉의 오브제ɑ로서 왜상적 이미지는 사진적 이미지를 콜라주로 시각화한 것과 일치한다. 이것은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왜상적 이미지로서 회화의 비실재적 시각 이미지의 차원을 넘어선다. 그것은 평면이든 입체든 무관한 응시영역으로한 라캉 이론체계에서 타자의 욕망으로 생성된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morning glory 2021-a-1>에서 오브제ɑ로서 세 개의 나팔꽃중에서 중앙 아래에 있는 나팔꽃은 왜상적 이미지로서 오브제가 응시로 보이는 이미지다. 여기서 나팔꽃은 가역적 시간의 연속성에서 순간적 응시로 정지된 존재성을 말한다. <morning glory 2021-a-1>에서의 이미지는 원근법적 시각체계 여백과 오브제도 실제가 아닌 가역적 시간성에 맞추어 나팔꽃을 평면화 시켜서 가역적 시간성의 존재를 보인다.

그러나 나팔꽃의 존재를 재현하고 있지만 배경 이미지는 나팔꽃들은 동일시하고 있지만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존재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나팔꽃과 이미지가 다른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그림자의 의미 구조다. 비실재 하는 그림자와는 또 다른 가역적 시간성으로 한 존재로서의 오브제이다. 이것은 주체로서 이미지가 아닌 타자의 욕망으로한 존재로서 실재의 오브제이다.

중앙 아래에 있는 나팔꽃은 가역적 빛을 연결하여 존재의 자리를 정하여 방향을 표시하는 시간의 과정과 그것이 존재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나의 광원적 시점에서 형성되는 나팔꽃은 양감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morning glory 2021-a-1>는 콜라주처럼 부분적인 왜상적 이미지이다 이것은 각각의 부분적 이미지들이 동일한 시간에 드러난 왜상적 형태로써 공간에 존재한 것임을 말한다.

평면성으로 한 나팔꽃은 관찰자의 응시에서 생성된 피사체의 형태이다. 이것은 양감을 소거한 나팔꽃은 가역적 빛으로 한 색조로 잇닿은 존재를 추출하여 보인다. 이렇게 타자의 존재로 한 <morning glory 2021-a-1>에 대한 지각적 측면에서 외형적 이미지로서의 나팔꽃을 배경의 여러개 가역적 빛으로 한 그림자와 대조되어 왜상적 이미지로 전환된 평면성을 보인다.

라캉적 시선은 보는 관점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으며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존재는 라캉의 오브제ɑ와 유사한 왜상적 이미지다. 그 오브제ɑ는 스크린적 이미지로서 빛이 드러나는 점에서 응시로써 보인다. <morning glory 2021-a-1>에서 가역적 시간성으로 보이는 빛은 나팔꽃을 조명하는 것으로 타자의 욕망적 이미지가 존재로서의 나팔꽃의 형상을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다차원의 응시로써 드러난 왜상적 이미지를 평면화한 시간성에 따른 라캉의 오브제ɑ로서 나팔꽃이다.

 

Louis, morning glory 2022-c, 135X156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형태로서 쓰레드 페인팅의 이미지와 색은 시간의 거리를 주어서 표식하지 않고 퇴색된 본디의 상상적 조형 구조로 형성하여서 보임으로서 숨겨져 있는 형상의 미적 가치를 보인다. 이것은 라캉의 미술이론을 스토리로 한 개념미술의 문학성을 넘어서 회화로서 조형성을 비등(沸騰)하고서 남겨진 색을 그려서 새로운 조형으로서 쓰레드 페인팅의 구조로 그린 것이다. 그 색의 구조를 실에 넣어서 색을 가려 막는 매듭으로서의 조형을 특정한 색에 조응할 수 있도록 선형적 구조의 색이 존재한 조형을 재구성한 그림이다.

따라서 실의 구조가 추가된 ‘쓰레드 페인팅’의 개념미술의 미술성으로 한 선형적 미학을 추구하는 천과 실의 구조에 페인트한 그림이다. 그 쓰레드 페인팅 <morning glory 2022-c>는 라캉의 미술이론에 등장하는 유아를 병아리로 전이하여서 풍습에 의해 만들어진 대상의 천과 같은 재료에 그려진 이미지다.

이렇게 <morning glory 2022-c>는 라캉적 이미지처럼 대상이 보이는 형상을 천과 같은 재료에 구성하여 좌우가 역전된 이미지를 생성하여서 그려진다. 따라서 그의 그림은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지 않는 양면의 그림이다. 여기서 뒷면의 이미지를 앞면으로 전환시킬 때에 새로운 그림이 출현하게 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닭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로서 병아리의 유아적 존재를 드러낸다. 이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으로서 닭이 타자의 욕망을 감추고 배경의 음영속에 사라진다.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어떤 형상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작은 대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형상의 의미를 가리킨다.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e, 148X177.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현대미술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포스터-36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g, 148X17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그러나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나팔꽃과 닭을 추상화(morning glory 2022-e)로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로서 병아리의 유아적 존재를 드러낸다. 이것은 추상적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포스터-36)으로서 닭이 타자의 욕망을 나팔꽃 배경에 감추고 실재는 배경의 음영속(morning glory 2022-g)에 사라진다.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추상한다.

이것은 어떤 형상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작은 대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를 말한다./ 글. 현대 미술평론가 루이 최철주 (현대 추상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Art Review: Contemporary Artist & abstract artist Louis,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Exhibition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NEW YORK EXHIBITION "MORNING GLORY": LOUIS CHUL-JOO CHOI'S PAINTING 

https://www.youtube.com/watch?v=3oMz0-gejAA

 

 

 

 

 

 

 

 

 

 

 

 

 

 

 

 

 

 

 

 

 

 

 

 

 

 

 

 

 

 

 

 

 

 

 

 

 

 

 

 

 

 

 

 

 

 

 

 

 

 

 

 

 

 

 

 

 

 

 

 

 

 

 

 

 

 

 

 

 

 

 

 

 

 

 

 

 

Flushing Town Hall, New York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l, 148X17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The object to which Lacan's art theory is applied is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The object's real is hidden in the margins of the non-real space, depending on the time.

 

In this way, the reality of the morning glory as a lacan's object becomes the blank space of the non-real spa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ime. The trumpet flowers painted there match the image of the light of the space as the target, and the target is set according to the inevitability of the symmetrical unreal space reflected in the mirror, equating the symmetrical real space with the non-real place. This is the space of the image tailored to the object. It is a space of fabric that repeatedly connects one gap and blank, and one picture structure overlaps the color drawn on the fabric with several blanks, square threads.

 

The image depends on the color and shape determined by the place of the object.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image as an object in <morning glory-2021-l> made of thread painting is the color of its meaning, and the reality of the customs universality facing the object is decorated with the color of light.

 

The dark space in contrast to this decorated light is a shadow created by staying in one place. The object that exists here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at has changed its shape due to the appearance of a staring color and familiarity with customs.

 

The meaning of "morning glory 2021-l" is an aesthetic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of a realized object stopped in a place of everyday life is shaped as the color of light, and the color of the reflective margin tha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s repeatedly drawn on a fabric-like material.

 

Here, the colored picture unravels the value of reality in the shape of color when enlightened by customs or when in place.

 

However, the material hidden in the margins of the object in the picture is tailored to the color suitable for the object of the time because it cannot reproduce its timeliness.

 

And "morning glory-2021-l" which sets the outline of the shape on a cloth-like thread as a color line contrasting its color, captures the familiarity of customs with the inevitability of the past space.

 

This indicates the meaning of the symbolic action that characterizes the design that repeatedly combines pieces of distorted morning glory image in the pictorial imitation process.

 

The meaning is a symbolic language that symbolizes imitated flowers. Here, the morning glory image is a sculpture of meaning symbolized in non-real space as a result of the lacan's meaning.

 

The place where the meaning of the morning glory is fixed is an image that leads from unconscious desire to a divided subject, and by repeating the design of the morning glory, the divided subject and the intersection form an image close to the two fixed points.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image close to the fixed point is simultaneity and synchronicity. The simultaneous function here is the meaning of the sentence, and the image completed by designing the actual object by retroactive effect of the design concept is <morning glory-2021-l>.

 

The synchronic function of the image is <morning glory 2020-D>, which is a synchronic structure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source of the design concept hidden in the linguistic sentence, that is, an image of a contrasting metaphor of the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k-1,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morning glory 2021-k-1" is thread painting in the form of a teaching fabric in which the back is illuminated by manually drawing an image of a misarranged image made from an anamorphosis image of a morning glory.

 

In other words, it is a shape in which the position of non-realistic painting with reflected light is expanded to the anamorphosis image in a shape of a cloth shaded in a thread and a small hole in the fabric.

 

The meaning of the shape is decorated with the color of the spatial light of the fabric entangled in a grid of the real of the customary universality facing the morning glory.

 

The dark space in contrast to the light of this decorated shape is a shadow created by staying in one place.

 

Here, as a real object, color is a visual image familiar with the custom of sight.

 

The meaning is a symbolic language that symbolizes the imitated flower.

 

Here, the morning glory is a sculpture of Lacan's object ɑ, the meaning of hidden aesthetic structure, as a symbol of space rather than reality by the meaning of Lacan.

 

Realization triggered by naturalism is a computer-made virtual image that is easy to create, duplicate, and convert, creating an unrealistic image without an original.

 

This is a computer technology that is not related to works of art, so it is different from works of art using the other's desire perspective as a medium.

 

However, computer-mediated media art makes other virtual images into real images, but also has artistry as a replica of the original virtual image.

 

Therefore, the way to effectively promote works of art is to use media art, and the technical expression of media art is also artistic.

 

This is an example of expressing the medium of art as a media art with contemporary media technology.

 

The difference between art and non-art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bject ɑ as a real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re of the other in a hypothetical shape as a real thing and a virtual shape as a non-existen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object ɑ in a virtual shape as a non-existence without the original. The condition of a work of art is that the meaning of the hidden aesthetic structure that exists as the original is an object ɑ.

 

A realistic picture forms a formative structure, but when it is the same form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production, it is not a meaningful composition.

 

This is because its formability can form an image or reform it into the same form through a realistic structure.

 

Therefore, the anamorphosis image of the desire of the other person who is difficult to replicate is the meaning object ɑ of the concealed aesthetic structure as an existence.

 

Here, the anamorphosis image is an objectɑ as another real image separated from the real image, although it is not real as an image of the whole.

 

An image formed as a virtual object by reproducing an object in a painting is a virtual image that conceals reality.

 

The virtual image is viewed as a virtual image by being recognized as a plane.

 

Here, by revealing the object ɑ as a being through the Lacan art theory system, the virtual image becomes real.

 

Lacan's Object ɑ is hidden in the geometric schematic of perspective that reproduces objects and is momentarily revealed by the desires revealed in the unconscious.

 

The object ɑ form an anamorphosis image expressed through the desire revealed in the repressed unconsciousness of others with a design to obtain artistry beyond generality, and create the real of the object ɑ to reveal artistry.

 

The artistry here reveals the object ɑ as another being of the object by transforming the image of the object into an anamorphosis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s desire.

 

And the meaning object ɑ, which has become a concealed aesthetic structure as an existence, acquires artistic meaning with creativity and autonomy.

 

<morning glory 2021-k-1> depicts an image generated by an anamorphosis image of a trumpet flower, and the form of a picture drawn in the shape of a cloth consisting of a grid in which the back is illuminated is thread painting.

 

In other words, it is a shape in which the position of non-real painting with reflected light is expanded to an anamorphosis image of a grid hole in which the back is illuminated is thread painting. The meaning of the form is another person's desire decorated with the color of spatial light with thread painting of the real of universality in the customs facing the morning glory. The dark space in contrast to the light of this decorated shape is a shadow created by staying in one place. Here, as a real object being, the color is an image on one side familiar with the custom seen as a gaze. The meaning is a symbolic language that symbolizes the imitated flower. The flower image is a sculpture of the hidden aesthetic structure meaning object ɑ a symbolized being in non-real space as a result of the lacan's meaning.

 

Object ɑ is an object revealed in Lacan's art theory as a 'gaz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sire and rational thinking from a perspective.

 

Therefore, the object ɑ as a gaze was revealed as a dot of light in the eyes of the other as the subject.

 

This is an image that overlaps with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but is momentarily revealed from a desire perspective in an oppressed unconsciousness.

 

The eyes on the picture see an object drawn on the canvas, but the eyes is like a subject staring at it.

 

The gaze determines what is seen and what is not seen in a small hole on the screen, such as a cloth, in space, the reflected light determines the image that is shifted according to the coincidence or inconsistency with the gaze.

Therefore, Object ɑ means a concealed aesthetic structure as an entity revealed in the lustful gaze system, not a non-real image in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b), 132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The emergence of linguistic meanings unconsciously in reversible temporality creates an image of the other's inconsistent desire as the place of <morning glory 2021-b> and develops it in a consistent sense.

 

This shows the meaning of Lacan's unconscious language, which repeatedly indicates that there is no unstable element, and draws an inconsistent image of a "morning glory" representing an incomplete phenomenon representing the unconscious language, like the desire shown by the other's conscious movement.

 

The structuring of "morning glory" as thread painting is an object that implicitly relies on the existence of a structure, that is, the temporality of a momentary coincidence, at a predetermined object.

 

The image of the object is structured as a shape of the thread, and the image drawn on the connected fabric is expanded into the shade of light to expand the planar shape of the morning glory in the fabric.

 

Therefore, the structuring of thread painting is the place of morning glory that depend on the existence of an implicit structure in the designated place of the morning glory, that is, the coincidence of momentary temporality.

 

The position creates an image of a morning glory in the sky and overlaps the image of the overlapping fabric to expand into a reversible shade of light. And the image describes the atmosphere that has changed to flat morning glory and temporality.

 

By illuminating the position in several directions, the existing shape of the past time is returned to the unconscious shape, and the images reversible to the real shape cannot be overlapped according to one time, but are overlapped in an integrated meaning.

 

However, the shape does not appear to be meaningful, and the image background is settled in several shades that are momentarily reversible.

 

This is a different image in which the position of temporality, that is, the image of the sky, appears to be a stimulus of light set in time at one moment of time, just as clouds, rain, and eyes appear.

 

The image is the place of infinite and continuous existence that light has achieved over time.

 

The momentary shape in which abstract phenomena coexist as images with form and meaning is a reversible visual structure. When an painter draws, it is the temporal logic of the image that obtains semantic recognition of the image.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visual reversible reaction is a momentary image according to the visual reversible reaction in the shape of a morning glory, and a misaligned image in which the morning glory is temporarily obscured by shadow or light or coexists in its original position is the meaning of a momentary image.

 

The image is a view of another person's desire on a cloth at the moment when the shadowy shape of everyday life intersects the morning glory of the past time.

 

The structure of the branches and leaves of the trumpet flower shows the meaning in harmony with the trumpet flower that matches the appropriate shade corresponding to the light. It's meaning shows the positional structure of the morning glory exposed to bright light in a symbolic shape according to the shadow light.

 

Therefore, a morning glory painting is an image method that reveals the morning glory that unconsciously exists in the place of the morning glory. The more you repeat the shading image of the reversible light, the more abstract the morning glory image becomes.

 

In other words, the more reversible light is repeated over time, the less the area of light is expressed by overlapping the shade of the staring morning glory.

 

The meaning of the morning glory, which repeatedly combines pieces of distorted morning glory image, represents a symbolic shadow in which the other person's desire is specified.

 

Here, meaning is a language that symbolizes the conceptual image of a morning glory and a flower that mimics an object that always exists.

 

Therefore, the morphological language of 'morning glory" decorates the reality of the customary universality faced by objects with the color of light.

 

The dark space in contrast to the decorated light is a shadow created by staying in one place.

 

 

Louis Chul-joo_Choi, morning glory 2021-h, 131X16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In "morning glory 2021-h" actual morning glory, cats, fish colors, and shadows coincide with conventional images. The "morning glory 2021-h" is a word that symbolizes the other person's desire by imitating the other person's desire hidden on the back of "morning glory 2021-h" where the cat's movement has stopped.

 

As that "morning glory 2021-h", the cats image is a sculpture of meaning symbolized in non-real space as a lacan's word of meaning generated by visual reversible reaction in its place.

 

This is because the color of the shade caused by reversible light on the overlapping fabric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at and morning glory, and over time, the distorted desires of the other overlap and develop into an image of fabric.

 

This is a visible phenomenon, and the morning glory made by the movement of the other's desire appear inconsistent, and the images of the cat that's separated from desire and the morning glory, whose desires are fragmented, overlap with intersecting threads to form a space ahead of them.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2021-l, 148X17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The "morning glory 2021-l" approaches landscape paintings that seemed to be the daily desires of others, rejects two-dimensional flatness, divides fantastic plane images into two planes and shows them in a fabric structure so that they can recognize others' desires as reversible shadows.

 

It is difficult to reveal the object ɑ of the structure of beauty concealed in the object of the hidden structure existing as an attribute of shadow in a picture that is converted into a system that approaches recognition as a meaningless being and draws out symbolic expressions.

 

The perceived symbolic expression is a linguistic composition lacking a formative aesthetic structure that is well-seen at the bottom of the image. It is perceived as a flat expression, but it is a virtual image that hides reality.

 

The image is a virtual image that deviates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ty and belongs to the structure of desire as a hidden aesthetic structure.

 

<morning glory 2021-l> is a background shading by manipulating the morning glory's background with reversible light on the surface of a fabric made of crossed threads.

 

And light reflected in a small hole in the fabric is an abstract image that expands the plane of an object by overlapping it with reversible light in an unrealistic picture.

 

The meaning of the image is that the reality of the present universality that trumpet blossoms encounter representing the other person's desires overlaps with reversible light, decorating all space with the sense of color.

 

The dark shape that contrasts with this decorated flat image is a momentary shadow of reversible light drawn on the fabric.

 

Here, the cross-sectional image of the custom seen as a real object looking at color is a language that symbolizes an imitated morning glory. This is because the morning glory image is a reversible shadow of the Lacan's semantic structure.

 

The expression of color recognized as a shadow forms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tone of speech with temporary light that reflects the desire of others who are staring at the screen or are invisible.

 

The transition from a practical expression of this semantic structure to a symbolic system transmits the plane dimension of the object to a semantic structure. The planar image of this practical morning glory makes you stare at symbolic expressions and real images. It shows a dual appearance of expressing the opponent's daily life and symbolic desires at the same time through morning glory.

 

By removing the stage of volume by using reversible shades over time as monochromatic color, <morning glory 2021-l> does not have a fantastic image of the object by light, that is, an image of quattrocento painting.

 

The morning glory has no setting of light, while the background is painted in the way of Quattrocento painting. This is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an imaginary world to a symbolic world, and images that do not exist, that is, images reflected in the mirror in the imaginary world, coexist. It reproduces the reality of a morning glory as an image that coexists, but the background image is identified with the morning glory, but the image assimilated with a non-substantial shaded color does not fit the metaphorical meaning of the substance. Its meaning is metaphorical like the linguistic structure, so it is not the same as the form of a morning glory.

 

Therefore, the meaning structure of shadows created by reversible light with images different from morning glory is an object as a reality, not real. It's not an image as an object, it's an object of reality as someone else's desire. In this way, Lacan's symbol, "morning glory 2021-l" shows the concept of changing the shape in which reality exists and enlightening its meaning.

 

The morning glory 2021-l is a small hole where the surface of the picture intersects, setting the non-actual position with reflected light, and drawing a shadow shape in which light overlaps. On the right back and side, the part that receives the light has a bright shape unlike it really is, and the rest has a shape of a shadow transferred by reversible light.

 

By revealing the reality of <morning glory 2021-l> created by the other person's desire, it created a dual space in everyday symbolic expression and real space. In terms of perception, this reveals the flatness of the picture that converts the morning glory, which appears to be an external image, into a symbolic image in contrast to several reversible light. Here, the morning glory 2021-l extends the position of the non-real image with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a small grid-shaped hole pierced on the grid-shaped fabric of the grid.

 

This is expresses non-real images and existential meanings in the part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ack and the light reversible from the before the time. It forms a visual object with reversible light, brightens the object with a awakened image of the other's desire, and forms a form in which the rest of the image is shaded by several reversible light.

 

By revealing the reality of <morning glory 2021-l> made by the desire of the other, it created a real space with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behind everyday life.

 

In terms of perception, the morning glory flower, which appears to be a substance as an external image, is converted into a symbolic representation system in contrast to a shadow with several reversible lights in the background. In other words, the represented painting of a symbolic representation shows an image of a cultural shape overlapped with several reversible lights over time.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e, 114X16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The crooked image viewed from the side as the object ɑ of Lacan is consistent with visualizing a photo image of the other person's desire in the past as a collage.

This is a crooked image generated by reversible light that goes beyond the actual visual image of the picture.

This is because it is an image created by the desire of the others in the Lacan's theoretical system, which is an irrelevant gaze area whether it is flat or three-dimensional. As an object in <morning glory 2021-e>, the morning glory at the bottom of the center among the three morning glory is not clearly aligned and viewed by the object 'ɑ' looks like a gaze.

Here, the morning glory refers to the presence stopped by a momentary gaze in the continuity of reversible time.

 

The image in <morning glory 2021-e> shows the existence of reversible temporality by planarizing the morning glory according to the reversible temporality of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margins and objects.

 

However, even if the existence of the morning glory is reproduced, the morning glory is identified as the background image, but it does not match the object 'ɑ'

 

It is a meaning structure of shadows created by reversible light with different images from morning glory about what existence is. It is an object that has another reversible temporality from a shadow that is not real.

 

Therefore, the object is not an image as an object, but a reality as another person's desire.

 

The morning glory at the bottom of the center connects reversible light to determine the place of existence and form a process of time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existence and a space in which it exists.

 

A morning glory flower formed at a single light source point in time does not have a sense of volume. Here, the morning glory is a partially fragmented image, such as a collage. In this way, each partial image exists in space as a fragmented shape exposed at the same time.

 

The planar morning glory is the form of a subject generated by the observer's gaze. Through morning glory that have eliminated volume, the presence connected to the reversible light is extracted, and the various reversible light in the background and the shadow of the morning glory are contrasted to show a plane view converted into a distorted image.

 

The Lacan's gaze cannot be selected as a visible image in which real and non-real reproduce an objec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view, and the pictorial image expressing the actual image is identified as an image as non-real.

Therefore,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a distorted image similar to that of Lacan's object ɑ.

 

Louis Chul-joo Choi,_morning glory 2022-b, 130X15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The painting they completed as a means of livelihood is what Lacan calls a picture reflected in the mirror, that is, an imaginary system as a metaphor, an object that is satisfied with the image of the real object as an infant by looking at the object reflected in the mirror.

In <morning glory 2022-b>, the boundary of the canvas visual range is removed and the three-dimensionality of invisible mannerism in the picture is removed to schematize it as a semantic object. This is an object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emantic duality, away from the traditional style of painting express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times.

 

It imprints that it is a flat canvas and refers to the reality of the family as another meaning of the compositional image formed by chickens and chicks, not the actual picture of perspective.

It is a lacan painting that shows the shadow of object a with a reversible light that rejects the image center of simulacre, which replaces real, by omitting the volume of chicken and rejecting perspective description.

The transition from such a semantic representation to notation shifts the planar dimension of the figure to the essence of meaning. This is a dual object that simultaneously shows livestock in daily life and a family in a symbolic sense through chickens and chicks.

The shape of the picture reveals the aesthetic meaning of an object in the visual system in image painting.

This is a pictorial act, and the object is defined in a limited area in perspective, distorting the original space, and drawing it on the canvas to produce meaning.

In addition, another meaning due to the shape of the area similar to the object forms a meaning subtracted from the image in a semantic form from the double expression of the shape.

The dual meaning formed here breaks the relationship with the apparent being in the visual system and exists as a meaning in an immaterial cultural space.

 

The verbal expression of the object in the picture is also metaphorical, but assuming that it is an image that is not reproduced, real exists as a virtual image that reproduces real through thinking.

Here, 'morning glory 2022-b' is an unrealistic meeting that distinguishes the symbolic image and real meaning of morning glory, contrary to the reality that chickens and chicks are life and family.

In the picture space, Lacan's real is different from objective real and representative thoughts. It has a real object ɑ that is separated from the real transferred from the symbolic world

In "morning glory 2022-b" the hidden images of chickens and chicks in the morning glory landscape are repeatedly expressed in the meaning of the family, and the meaning of the family is revealed in the composition of hidden images from the images of chickens and chicks.

In the semantic space in the picture, the volume of chicken is omitted in its actual shape, and the meaning of the family is expressed in a non-visual system.

In the public domain, real is a hidden meaning beyond the displayed image.

As a real in its concealed meaning, "morning glory 2022-b" shows both the space of life and chickens and chicks with morning glory in the landscape to reveal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orning glory 2022-b" is a real that shows the value revealed in the family's appearance, eliminating the unrealistic real that seems to be right in front of you and depicts the reality of meaning through thinking.

Painting in the symbolic world is only a continuing symbolic existence of objects. Lacan calls its existence a transcendent signifier.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g, 148X17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morning glory 2022-g> metaphorically expresses the meaning of the family as a real, an area separated from the realm of the symbolic world. Without showing the object to be expressed, compare the actual meaning of the family to chickens and chicks. In other words, invisible concealment creates an image that symbolically compares its meaning with its symbolic image.

 

However, Freud's unconscious expression can be compared to the desire of the symbolic others in the Lacan theoretical system through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Here, the symbolic other's desire is identified in the category of the symbolic world in Freud's unconsciousness and the linguistic meaning of Lacan's signature image.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h, 149X18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Therefore, the meaning of Lacan's concealed real image is an unconscious structure. By understanding the real of the family, which is not seen in <morning glory 2022-h>, you can find the meaning of the image that symbolizes the existence of the other's desire in a lacan's painting.

The pictorial objects invisible in the visual system are Lacan's object ɑ and surreal object.

This is a distorted image in which the desires of others appear momentarily as an object ɑ of surreal lacan.

 

 

 

 

 

 

 

 

 

 

 

Louis Chul-joo_Choi, morning glory 2021-h-back, 131X16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That is a dual object of surreal painting that has a symbolic meaning, unlike the meaning of symbolic and perspective actual shapes, as a shape derived from human subconsciousness.

 

The semantic language of Lacan's surreal image is based on the existence of real that identifies Freud's unconsciousness as a category of symbolic world. Therefore, the meaning of Lacan's surreal real is an unconscious structure. By understanding the real of the painting, <morning glory 2021-h-back>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unconscious real in visual art symbolizes the desire of others.

 

In other words, the real of Lacan's unconscious shape is the effect of the emergence of incomplete and distorted images formed by repeating the semantic language of the image. This is a formula that can be exchanged for meaning through the conscious movement of the notation image, and the meaning is determined by substituting a shape to reveal the meaning of Lacan's desire graph.

 

It is similar to constructing an image with an unconscious structure into a scenario like a stage in a play and revealing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scenario through the thinking movement of the image shining reversible light of the past.

 

In Lacan's theory of visual arts, image exchange is expressed as the others person's desire instead of semantic action by repeating the structure of the mark image and shows meaning that does not act as resistance to insufficient images, that is, insufficient forms. In Lacan's graph of desire, it accepts Saussure's symbolic language, but reveals the meaning, which is the effect caused by the unconsciousness that prioritizes the meaning, that is, the image of the notation.

 

Here, Lacan's exchange formula; 'f(S...S')S=˜ S (-)s' is replaced with <morning glory 2021-h-back>, the morning glory as a image is connected to the sky, and the cat is incarnated, and the fish is selected as an object ɑ of the batter's desire and shaded into an object in the shadow. Lacan says that the meaning of the fish as the desire of the others is combine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stick (-).

 

Lacan's fantasy formula, which functions visually in the picture, describes shapes such as unconsciousness and language so that others can experience their desires consistently and meaningfully. Therefore, the attempt to pursue in Lacan's painting seems to constitute a meaning that symbolizes the desire of others hidden by images, like unconscious language, in the existing space where certain effects of semantic behavior occur. /

Writing. Art critic Louis Chul-joo Choi (Modern Painter & Doctor of Cultural Design)

 

 

 

 

 

 

 

 

 

 

 

 

 

 

 

 

 

 

 

 

 

 

 

 

 

 

 

 

 

 

 

 

 

 

 

 

 

 

 

 

 

 

 

 

 

 

 

 

 

 

 

 

 

 

 

 

 

 

 

 

 

 

 

 

 

 

Art Review: Contemporary Artist, Chul-joo Choi's "morning glory" Exhibition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Art review: Contemporary artist, abstract artist Louis & Art critic, Louis chul-joo Choi's "Moening gl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