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미술-팝아트 추상화

개념미술가 최철주|현대개념미술평론 현대개념미술가평론 이미지개념설치작품평론 Contemporary artworkcriticism: Contemporary conceptual art Criticism [2] Abstract conceptual art & Abstract [2] Abstract conceptual art ..

by 루이 최 2024. 2. 17.

개념미술가 최철주|현대개념미술평론 현대개념미술가평론 이미지개념설치작품평론  Contemporary artworkcriticismContemporary conceptual art Criticism [2] Abstract  conceptual art & Abstract [2] Abstract conceptual art artist Louis Choi Chul-joo's Modern conceptual art work: Contemporary artist Louis Choi Chul-joo's realistic abstraction of treacherous conceptual installation art and abstraction of modern installation art based on the concept of the desires of others: 

미디어 아티스트 개념 이미지 설치 미술가 작품 루이 최철주 개인전 미디어아트 영상전시 Media Art conceptual artist Louis Chul-joo Choi’s Media Art Video Display: <대나무 숲>20201126-20201210, Minoo Media Art Museum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 

 

 

루이 최철주 개념 설치 미디어아트: 대나무 숲

현대 개념 이미지 설치 미술가 루이 최철주는 사진의 기본적 특징인 빛과 그림을 바탕으로 구성을 개념 설치 미디어 아트로 설치 조형물 <대나무 숲>을 구현했다.

이것은 현존하는 대나무 사진들을 패러디한 그림으로 드가(Edgar Degas)의 사진처럼 계산된 정확한 구도와 빛 공간을 의식하는 필연적 조형성으로 한 설치 조형물이다. 

현실적 조우(遭遇)로서 비와 바람의 이미지를 그대로 그려서 미적 시간성에 맞춘 대나무 숲과 그 시간에 일어나는 본뜬 사진적 형상을 더불어 보인다. 이것은 대나무의 한정된 사진적 프레임과 달리 249개의 대나무 숲 사진의 문체(文體)적 개념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 한 미디어아트 설치 조형물<대나무 숲>이다. 

개념미술로서 미디어 아트에서 대나무 숲의 개념적 이미지 효과는 이미지가 표면 영역 내의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 때문에 일시성이 다른 그 공간의 소재 즉 설치 조형물이 된다.

그 공간에서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의 의미와 효과는 그 시간성에 있는 공간의 주체다. 

 

따라서 설치 조형물 '대나무 숲'은 사진 이미지에서 베낀 왜상적 이미지다. 그 결과로써 대나무 숲의 미적 가치는 미디어 아트 <대나무 숲>으로, 대나무 이미지의 설치는 존재하지 않는 그림으로서의 이미지에 감추어진 비조형적 형식과 시간성의 주체와의 연관성을 드러낸다. 

개념미술로 한 이미지 설치 조형물<대나무 숲>의 시간성은 미디어 이용자의 가상적 공간을 만들고 또 다른 시간성의 개입이 연쇄하여서 그려진 가상적 이미지를 촬영한 사진으로한 사진과 디스플레이 모니터 그리고 미디어아트 <대나무 숲>이 시각적 연속성을 스틸 이미지와 영상으로 보인다. 

이것은 보이지 않는 대나무 숲에 겹쳐진 대나무의 빛과 어둠을 각인시키고, 사진에서 떨어져 있는 대나무 그림의 실제를 이미지와 영상으로 객관화한다.

여기서 설치 조형물<대나무 숲>은 이미지의 대상과 사진의 상징적 표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대상으로서 대나무의 구조주의적 형태는 돌이킬 수 없이 정지된 기호적 사진이 된다. 

그 사진은 사진 구조로서 대나무를 주제로 한 정지된 기호적 인상이다. 여기서 인상은 대상의 주체와 기호적 사진표현의 관계를 나타내며 주체로서 대나무들의 구조주의적 소리가 돌이킬 수 없이 정지된 기호적 사진이 설치로서의 조형물이 된다. 

 

 

그러나 대나무의 이미지는 보이는 유사성과는 다르게 이미지와 영상이 조합되어서 동일시된 대나무 사진의 의미를 왜곡시킨다. 이것은 실존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사진과 영상의 스틸 이미지의 기표일 뿐이다. 

따라서 개념미술 작품 사진과 형태가 다른 일러스트레이션한 그림을 촬영하여 사진과 동일하여서 개념적 형태를 실제한다. 

개념미술 이미지 작품 <대나무 숲>의 그림으로 한 사진의 의미는 언어의 구조와 같이 은유적이어서 대나무의 형태와는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성의 실재로서 형태와 이미지가 다른 비와 바람을 끼어서 중첩된 또 다른 대나무 숲의 비존재 하는 비와 바람의 무의식적 그림으로 실제를 개념 이미지로서 설치 구조화한다. 

그리고 대나무 숲의 주체가 스스로 만들어낸 위치의 결여로 그려지는 가상적 이미지를 다른 개념미술 작품으로서의 미디어 아트로 대체하고 대나무 숲의 내면적 바람과 빛의 개념 이미지를 실제화한다. /글. 개념미술가 최철주

 

최철주 (문화디자인박사)

 

 

 

 

 

 

개념미술가 루이 최철주 미디어아트 대나무 숲: Louis Chul-joo Choi <Bamboo forest>

 

 bamboo forest by Louis chul-joo Choi

The meaning of photo <Bamboo Forest>, a picture-shaped illustration taken by artist Chul-joo Choi, is metaphorical like the structure of language, so it is not like bamboo. It is a non-existent painting that overlaps rain and wind with other forms or images due to temporary reality.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111)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144)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155)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297)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302)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307)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313) 

 

 

 

 

 

 

Louis Choi Chul-joo, Media-art; Bamboo Forest, Still-image(Bamboo Forest-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