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미술-팝아트 추상화

추상화가 최철주|현대추상미술평론 현대추상화가평론 현대미술추상작품평론 Contemporary Abstract Art Painter Criticism [13] Abstract contemporary art that designed modern art abstract painting & Abstract painter Louis Choi..

by 루이 최 2024. 3. 18.

추상화가 최철주|현대추상미술평론 현대추상화가평론 현대미술추상작품평론 Contemporary Abstract Art Painter Criticism [13] Abstract contemporary art that designed modern art abstract painting & Abstract painter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work: Contemporary artist Louis Choi Chul-joo's realistic abstract work of contemporary art as a conceptual art of treachery based on the concept of desire of others <morning glory p26-2> : <나팔꽃 p26-2>

 

Contemporary Artists Painting Review [7] Modern Painter Artworks Art Review :  Modern abstract artist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p26-2-4> 2022 Exhibition in New York  

 

 

루이 최철주의 배반적 개념미술 추상화  구상 형태를 선과 색에 맞추는 개념미술에 배반적이다. ■ 최철주의 추상화 디자인 프로세스/ 추상화 <나팔꽃>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그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여기서 생성된 이미지는 피사체의 입면으로 정시되는 도면을 제외한 형태로 왜곡된 시선으로의 교차점에서 전체 피사체가 일정한 방향의 빛으로 보이는 하나의 형상이다. 그 형상에 라캉 미술이론을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한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이 하늘에 감춰진 빛에 있지만 피사체의 자리가 땅위에 있다. 따라서 형상이 없는 하늘과 땅이 실재라면 사실적 욕망의 구조는 지난 시간에 존재했던 사건의 현장을 그린 존재적 추상이다. 그 추상의 대리자로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생성된 <나팔꽃>은 욕망의 구조로서 정해진 형태가 개념의 존재를 인식하게 만드는 사실적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미적 가치를 얻는다.

 

■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는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가역적 빛의 실재를 맞추고 그 빛의 실재를 감추는 흰색을 통해서 비실재의 구름을 만들고 실재의 음영을 가린다. 그 음영에 틀로서 윈도우는 음영에 숨긴 무늬를 볼 수 있도록 그림자를 통해서 실재의 색조를 조명하고 그 실재의 형상을 존재로서 인식하게 한다.

존재로서 형상을 보는 것은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을 보는 것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재현하여서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배반적 개념미술로 구조화하여서 그 개념을 추상한다.

(배반적 개념미술 추상화 최철주미술이론 ACN ・ 2022. 12. 24. 17:11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디자인 = Louis, morning glory p26-2-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2

 

 

욕망 개념 미술로 한 <나팔꽃 p 26-2-4>는 전시 포스터 의미로서의 욕망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한다.

 

배반적 개념미술로서의 추상화는 미술에서 사실적 구조물로서의 추상화를 말한다. 사실적 형상의 자리에 존재하는 개념적 의미들은 만화 리브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추상화는 타인의 추상적 욕망을 만화 리브 이미지로 해석하는 가역적인 빛의 음영을 통해 그려진다.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s present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ib images, the abstraction is drawn through a reversible shade of light that interprets another person's abstract desire as a cartoon rib image as an image. (*Cartoon rib image, that is,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hidden meaning of the cartoon)

Choi Chul-joo, <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욕망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 을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추상된 <나팔꽃>으로 디자인된다. 

             

언어로 추상된 존재로서 오브제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추상 공간의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추상화한 팝아트 <나팔꽃 p26-4>를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É=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 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타자의 욕망으로 한 개념만평 오브제는 분명히 거울에 비쳐진 오브제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었으며 거울에 드러난 또 다른 오브제를 봄으로써 그림을 보는 자의 실재는 부재한다. 다만 그 그림을 그린 이가 타자를 대신한다. 

타자를 대신하는 라캉의 응시로써 드러난 자리는 전체의 가상적 이미지에서의 소실점에 등장한 피사체의 위치 즉 atopia 다. 

따라서 그 피사체의 주체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응시로써 드러낸 오브제 즉 실재다. 

따라서 현대미술 팝아트 추상화 <나팔꽃 p26-2>는 실재와 비실재의 이미지를 동일한 공간에서 개념을 추상한다. 그 피사체를 개념하는 큐비즘에서 팝아트적 공간으로써 물리적 실재를 드러내고자 함은 사실적인 실재로서 오브제를 ‘응시’하게 한다. 그리고 사실적인 실재를 분명한 물리적 구조에서 출현한다. 그 구조적 물리성은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단면을 갖고서 개념적 회화에서 한 개의 단면과 두 개의 측면을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 형태적 구조의 다면적 개념성을 포치한다.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디자인 = Louis, morning glory p26-2-5,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2

 

  

개념 미술로 한 <나팔꽃 p 26-2-5>은 전시 포스터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따라서 타자의 욕망으로 한 개념만평 오브제는 분명히 거울에 비쳐진 오브제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었으며 거울에 드러난 또 다른 오브제를 봄으로써 그림을 보는 자의 실재는 부재한다. 다만 그 그림을 그린 이가 타자를 대신한다. 그 타자를 대신하는 라캉의 응시로써 드러난 자리는 전체의 가상적 이미지에서의 소실점에 등장한 피사체의 위치 즉 atopia 다. 

따라서 그 피사체의 주체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응시로써 드러낸 오브제 즉 실재다. 

따라서 현대미술 팝아트 개념 추상화 <나팔꽃 p26-2-5>는 실재와 비실재의 이미지를 동일한 공간에서 개념을 추상한다. 

피사체를 개념하는 큐비즘에서 팝아트적 공간으로써 물리적 실재를 드러내고자 함은 사실적인 실재로서 오브제를 ‘응시’하게 한다. 그리고 사실적인 실재를 분명한 물리적 구조에서 출현한다. 그 구조적 물리성은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단면을 갖고서 개념적 회화에서 한 개의 단면과 두 개의 측면을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 형태적 구조의 다면적 개념성을 포치한다.

 

개념으로 집적된 사실적 비실재의 왜상적 이미지를 개념 추상화로 택함으로서 원근법적 밀도와 하나의 광원적 시점에서 형성되는 양감은 존재하지 않고 가역적 빛으로 한 이미지다여기서 개념 추상화 <나팔꽃>은 콜라주처럼 부분적인 왜상적 이미지이다. 

이것은 각각의 부분적 이미지들이 가역적 시간에 드러난 개념적 형태로서 최철주나팔꽃 배경 공간에 회화 이미지로서 디자인된다.  / 글. 현대미술디자인평론가 최철주 (추상 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Louis Choi Chul-joo's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ion ■ It is treacherous to conceptual art that fits the conceptual form to lines and colors. ■ In Choi Chul-joo's abstraction design process/abstract painting "morning glory", desire concept's art theory is formalized to convert the news cartoon image into the signified image by linking Choi Chul-joo's desire art theory to the abstraction.      

This has the meaning of expressing the other's desires in painting by repeatedly applying the imaginary world and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The image generated here is the shape of the desire concept image in which the entire subject appears as light in a certain direction at the intersection with a distorted gaze except for the drawing that is fixed to the subject's fac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bstract art theory of the concept of Choi Chul-joo's desire to the shape, the desires of the other approach the formative beauty. This is because the other's desire is in the light hidden in the sky, but the subject's place is on the ground. Therefore, if the sky and the ground without a shape are real, the structure of realistic desire is an existential abstract that realistically depicts the scene of an event that existed in the past time.     

"morning glory", created as a reversible shade of light as a representative of the abstraction, is a form of a background image determined as a structure of desire as an event scene and a art performance image in the time. It acquires aesthetic value as an abstract image of realistic non-realism that makes the image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concept of desire.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is not the subject of the object, but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desires of the other. It creates a non-real cloud and hides the shadow of reality through white without a color tone that matches the reality of reversible light and hides the reality of that light.

As a frame for the shadow, the window illuminates the hue of reality through a reversible shadow so that you can see the hidden pattern in the shadow and recognizes the shape of the reality as a being.

 

Looking at the form as a being is the same as looking at a consistent space of life like the sky. It connects with the cartoon review of the news that represents the space of life, but does not criticize and judge, but structures the reality of the object symbolizing reality through the picture of the event into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and abstracts the concept realistically like historical painting.

(The treacherous conceptual art theory of Choi Chul-joo's art abstraction / ACN · December 24, 2022, 17:11)   

 

Modern art painting design: Modern art design works that symbolize shape images in semantic structure = Louis, morning glory p26-2-1,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2

 

Treacherous Conceptual Art Green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Art Criticism

To reveal the subject of desire is to reveal the object of the concept of the image of desire as a deficient subject. This is a   of  structure of the visible object deficiency realistically reconstructed in the form of the other's desires in the abstraction "morning glory" 

<morning glory window> constitutes a frame that reveals the image of the subject representing the lack of desire cencept in the subject, and creates an object in the shade of reversible light in the frame to choose reality as a subject away from non-existence.

  

This is the physical structure of desire that results in a realistic existence. The structure has each cross section in a three-dimensional form in several frames, and abstracts the pictorial image as a conceptual art of desire into a multi-faceted image of a semantic structure as an object in a single concept. (ACN, June 22, 2023, 23:13 <morning glory window> Subject Image: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ual Art Theory)

 

<morning glory p26-2-1> is an object of desire concept images drawn on the form of overlapping cloth with threads reflected on the back by manually creating images created as an anamorphosis image, which means the reality of morning glory.

 

In 2022 New York (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 Korean painter & pop art abstract artist Louis's <morning glory> is a modern art abstraction that produces a poster with a contemporary art design concept as a desire cencept  structure and symbolizes the design of the desire shape, that is, the exhibition poster image of the painting.    

The object (26-2-1 Louis Choi Chul-joo 2022 New York Exhibition morning glory poster), which depicts the meaning of the shape seen in the semantic space created by reversible light, structures the meaning of the image that hides the desires of the other in time as a shade of reversible light, meaning an abstract space that can be reversible into a real shape, and the meaning of conceptual abstraction, that is, the image in the mirror, is a hypothetical non-real image and shows an abstract image that reveals the place of the other's unconscious desire.     

The object (morning glory poster 26-2-1), which depicts the meaning of the shape seen in the meaning space created by reversible light, means the existence of the same abstract space that can reversibly form an object into a real shape by structuring the meaning of a certain desire shape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and shows an existential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that is, an abstract space obscured by the actual changed movement of the exhibition poster shape.  

  

Louis, morning glory p26-2-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2

 

"morning glory p26-2-4", which is a desire conceptual art, is an abstract area of painting in which a specific effect occurs that reveals the conceptual image of desire as an exhibition poster. That area is an image that can momentarily see the desires of others who function gazely like a background in the landscape.

This is a crooked planarity that seems to have a consistent meaning of morning glory in painting. The morning glory is the same as the reality in the mirror (le Réel), but the shape of the background is not the same. This is because although it is an real form, the realistic form of the non-real with the structure of the same meaning as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is abstract, but abstraction with different shapes as the same meaning is non-realistic as an ideological atypical entity with different colors and sizes.

Its existence defines an abstract space as a shape that is actually reversible and refers to the abstraction meaning of the exhibition poster of desire concept art, in which the shape is obscured by the movement that has actually changed into the shade of reversible light.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s present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ib images, the abstraction is drawn through a reversible shade of light that interprets another person's abstract desire as a cartoon rib image as an image. (*Cartoon rib image , that is,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hidden meaning of the cartoon)    

 

Choi Chul-joo, <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 5>,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Desire conceptual art abstraction, which replaced the phenomenal place of the meaning of abstraction with an exhibition poster, can distinguish the place of the shape, thus conceiving the meaning of another structural image that interprets the shape.

The shape is abstract in color and size similar to the meaning of the ideological structure to speak of a different meaning, but in the imagination, the abstract meaning of conceptual art is identified with reality, and the image of the object and the abstract meaning are identified externally as the same subject, and the subject forms a transformed abstract meaning internally 

This refers to the abstract meaning of a shape, which defines an abstract space that can be actually reversible and refers to the design meaning of an abstract shape in which the shape changed by the actual changed movement of the shape is obscured in shades.

The meaning is designed as "morning glory", which is abstracted as a symbolic language symbolizing a desire flower that imitates the other's desire "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5".

 

In the abstract conceptual image "morning glory", a shape representing the desires of the other is designed and reproduced as an abstract object as an object of desire (Louis Choi Chul-joo 2022 New York Exhibition morning glory Abstract Poster 26-2-4). The concept of desire image, which is invisible in the mechanical scheme of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creates a place of shade while being hidden in reversible light, and abstracts the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image as a momentary gaze different from the other's desire abstract perspective revealed in the unconscious.     

In order to obtain artistry beyond generality, objects abstracted as desire conceptual art form a distorted image expressed through desire revealed in the suppressed unconsciousness of others into a design, create an object of desire conceptual image as a shade of exhibition poster formability with the desire of others as existence, and exist as meaning.                

As a meaningful being, the object contains a formative value as an autonomous choice of the other's desire by revealing the object as another being by transforming the object's image into a structure of meaning into a crooked image from the other's desire perspective.

In addition, a small piece as the other's desire hidden in the background of a chicken shows a real abstract space that is reversed through a thought movement that creates an image that actually changes the shape. This is where the other's desire is abstracted and placed in a space where the object can be actually reversible in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n abstract object.     

Conceptual art of realistic abstraction The realistic structure of art reflects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What reveals its shape are the outlines and shadows determined by the shadow of light. Realistic abstraction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pays attention to this and embodies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ion)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Modern art painting design: Modern art design works that symbolize shape images in semantic structure Louis Choi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2023     

 

The realistic form of the desire concept cartoon "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 5" shows a non-realistic form representing the meaning of an abstract landscape form that is hidden by the desires of others who are abstracted. The shape is the intersection with the actual structure selected by the desires of the other, created by abstract shades. 

This is a non-realistic realistic structure, a shape that is momentarily abstract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desire of the other is seen as a gaze, designed as a real figure of the whole and a shade of reversible light.

The image of desire is cut in order to accept the new subject as the gaze. The subject of this cut desire structure is fixed in the shape of representation. The space reflected in the mirror in the painting is another space in the physical space revealed in the shadow of one painting with reversible light, a reality that appears as an 'observation' that cannot be see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ntire scene of the painting. In order to reproduce the reality seen through such a gaze, the artist uses a mirror as a material in the painting.     

Only the concept cartoon of desire that cannot be expressed on the same plane Structures the virtuality of abstract exhibition posters into conceptual desire, similar to the gaze image that virtually reproduces the crooked image of "MONSTA X's "Let me be your fantasy" 5", or as if representing the place of reality with cubism as a connection to the image.

Cartoon objects, the concept of desire created by the desire of the other, are concealed without being exposed as objects reflected in the mirror, and the reality of the viewer is absent by looking at another object exposed in the mirror. However, the person who drew the picture replaces the other.

The position revealed by staring at the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in place of the other is atopia,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at appeared at the vanishing point in the entire virtual image. 

Therefore, it is the object, or reality, that the subject of the subject reveals as a gaze from the other's desire point of view.     

Therefore, the abstraction of contemporary art pop art <morning glory p26-2-4> abstracts the concept of real and non-real images in the same space. In cubism that conceptualizes the subject, trying to reveal physical reality as a pop-art space makes the object 'look at' as a realistic reality. And realistic reality appears in a clear physical structure. Its structural physicality has several cross-sections in a three-dimensional form and captures the multifaceted conceptuality of a morphological structure with one cross-section and two sides in a conceptual painting as an object in one concept. Writing. Modern Art Critic Choi Chul-joo (an abstract painter & Ph.D. in Cultural Design)  

 

Choi Chul-joo, an abstract pa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