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적 도슨트(Lacan’s docent):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3 = 현대미술 작가, 현대 추상미술 화가 작품 / 한국화가 그림 최철주 개인전: 뉴욕 전시 현대미술 한국 현대 한국화 화가 그림 꽃 작품 <나팔꽃 Morning glory 2021-e>
Docent on the New York Contemporary Art Exhibition of "Morning glory" abstract painting(Poster): an exhibition of the desires of others seen by a chick as an infant." a contemporary art work that applies artist Louis Chul-joo Choi's Lacan art theory.
한국 현대 추상 화가, 현대미술평론가 & 현대미술가 루이 최철주 현대미술 전시 <나팔꽃>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 포스터 미술평론/ A review of contemporary art works <morning glory> on the exhibition of contemporary art poster by contemporary art critic and contemporary artist Louis,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왜상적 회화 이미지로서의 의미
라캉 이론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하는 것은 타자의 욕망에서 ‘응시’로써 인지할 수 있는 왜상적 이미지로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은 라캉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타자의 응시다. 그것은 타자의 응시로써 인지가 가능토록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라캉적 인식의 존재는 응시다. 라캉적 디자인의 테마 이미지로서 의미는 비표상으로서 실재이므로 오브제ɑ로서의 실재를 통해 원인과 결과 그리고 의미를 드러낸다.
그 의미로서 디자이너가 주체가 타자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주체의 분열에서부터 생성된 주체의 소외에서 주체가 표상되는 것을 인지한다. 그 소외는 주체가 사라지는 것이다. 이것은 디자인의 개념적인 형태로써 소외된 주체가 타자의 욕망과 결합한다. 이렇게 라캉적 주체는 라캉의 강요된 선택 즉 하나가 배제된 선택으로 존재 즉 주체가 사라진다.
현대미술 작품: 포스터20-2
루이 최철주 “나팔꽃” 개인전: 라캉의 오브제ɑ와 피카소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로 한 루이 <나팔꽃> 뉴욕 개인전/ NewYork Exhibition: Louis's "morning glory": Exhibition of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8~20220310 Yeomyeong Hall, New York.
현대 미술평론가 & 개념미술가 최철주의 현대 개념미술은 초기 개념미술의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회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개념미술이다. 따라서 그의 현대 개념미술은 시사만평처럼 현상적 이미지를 비판하지만 회화성으로 의미적 가치를 말한다.
미술품에서 Ready made 기성품이 회화성을 대신할 수 없고 Marcel Duchamp 뒤샹처럼 창조된 개념과 그의 동조자 Joseph Kosuth 조셉 코수스가 말한 철학에 따른 메시지를 말한다. 반면에 라캉 미술이론에서의 유아적 상상계의 허상을 개념으로서 최철주의 개념미술은 시사만평으로 개념의 의미를 라캉적 회화속에 메시지를 담는다. 그것은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라캉적 디자인방법론(Lacan's design methodology)으로 한 회화 디자인에 대한 라캉적 도슨트: 라캉적 디자이너, 디자인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방법론: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포스터20-2에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적용하여서 페인팅 <morning glory 2021-e> 그림
라캉적 페인팅 디자이너 루이 최철주, 라캉의 미술이론을 스토리보드로 포스터를 형상화하여서 페인팅 디자인/ Painting designer, Louis Choi Chul-joo (Doctor of Modern Painter & Culture Design), a Lacan designer, designs the image of the painting by shaping Lacan's art theory as a storyboard.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e, 114X16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morning glory 2021-e>다.
그 이미지는 라캉의 환상공식에서 현실에 없는 것을 인식하여서 적용시킨 생각이다. 그 생각은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낸 하나의 이미지가 <morning glory 2021-e>다. 여기서 응시로 보이는 나팔꽃은 하나의 색깔로 평면화된 왜상적 구조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것은 타자의 욕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나팔곷 형상의 틀을 제공한다.
따라서 라캉적 회화의 시도로서의 <morning glory 2021-e>는 회화에서 의미작용의 특정효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발생하는 선 존재한 공간을 무의식적 언어처럼 의미를 말하는 무의식에서 깨어 동시대의 타자의 욕망을 그림으로 그려서 시각적 의미를 보인다.
글. 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 (한국 화가 & 문화디자인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