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0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사진평론: 사진평론가 & 한국 현대사진평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사진평론 – 사진전: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 ​ 객관적 사건을 새로운 언어의 이미지의 역할을 보이는 사진으로써 형상화하여서 보도했던 미국의 잡지가 입니다. 가 전성시대인 1973년에 왜 폐간했는지를 알아봅니다. 당시 의 매니지먼트를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TV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는 광고 효과를 내면서 높은 가격의 광고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그리고 구독자에게 보내는 우편 요금이 상승하여서 지출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에 출품된 포토저널리스트들 중 마가렛 버크화이트와 고든 파크스의 대표작을 살펴보겠습니다. ​ 의 종군 사진기자인 마가렛 버크화이트(Margaret Bourke-W.. 2021. 6. 12.
라캉적 문화평론: 문화평론가, 사진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미술 문화평론 - 사진평론: [19] 사진 전시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라캉적 문화평론: 문화평론가, 사진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미술 문화평론 - 사진평론: [19] 사진 전시 THE LAST PRINT “마가렛 버크화이트 & 고든 파크스” - Cultural review & contemporary artist Chul-joo Choi's cultural review(Cultural reviews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art, photography, design, and cartoons) /시사평론가, 문화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의 문화평론 (문화, 미술, 사진, 디자인, 만화에 대한 평론을 바탕으로 한 시사평론 & 문화평론) ​ ​ 객관적 사건을 새로운 언어의 이미지의 역할을 보이는 사진으로써 형상화하여서 보도했던 .. 2021. 6. 12.
미술평론가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 <창문속에 보이는 뷰>#2 = <​The view from the window-02>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 #2 = ​ ​ Chul-joo Choi, The view from the window-0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 ​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 ​ 라캉의 상상계에서 동일시는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된 이미지는 거울 앞에 선 유아가 본 것으로써 그 이미지의 주체가 오인으로 한 환영적 이미지다. 이것은 창문속에 보이는 뷰(view)처럼 실제 이미지와 의식속에 그 이미지를 특징짓는 독특한 심리적 이미지로써 .. 2021. 6. 10.
미술평론가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 <창문속에 보이는 뷰>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 ​ 라캉의 상상계에서 동일시는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자신을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된 이미지는 거울 앞에 선 유아가 본 것으로써 그 이미지의 주체가 오인으로 한 환영적 이미지다. 이것은 창문속에 보이는 뷰(view)처럼 실제 이미지와 의식속에 그 이미지를 특징짓는 독특한 심리적 이미지로써 유아적 상상에 고정된다. ​ 유아적 상상은 모성애의 영역에서 누릴 수 있는 상상의 세계이다. 유아는 보이는 오브제와의 관계를 생모와의 공생적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보이는 은유로써의 상상.. 2021.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