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평론가70

미술평론가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배수봉 & - on Instagram: Chul-joo Choi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미술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배수봉 & - on Instagram : Chul-joo Choi’s 배수봉, 시간이 싹 틔운 꽃series중 밭돌로 쌓은 담장의 인상, Acrylic, koreanpaper on canvas, 2021 ​ ​ ​ 밭돌로 쌓은 담장의 인상 ​ 싹은 추위를 이겨낸 식물이 따뜻해졌음 알고서 꽃을 틔운다. 추위를 막아주는 밭돌이 벽이 되어서 바람을 막아낸 한 부분이 꽃의 변화처럼 담장이 된다. 그 꽃은 시간성에서 대상되어서 객관화한 꽃의 구조와 같지만 담장이 지켜낸 모양은 내적 시간을 의식한다. 그리고 시간에 변화에 맞춘 공간의 흔적을 남긴다. 이것은 지난 공간에서의 행위가 사라진 정지된 .. 2021. 3. 3.
라캉적 문화평론: 시사평론가, 문화평론가 & 한국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미술 시사평론 & 문화평론 [7] 하루하루 블링블링 라캉적 문화평론: 시사평론가, 문화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현대 미술 문화평론 [7] 블링블링 - Cultural review & contemporary artist Chul-joo Choi's cultural review (Cultural reviews based on reviews of literature, art, photography, design, and cartoons)/ 현대미술 작가, 문화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의 현대미술 작품 라캉적 페인팅 미술평론 (문화, 미술, 사진, 디자인, 만화에 대한 평론을 바탕으로 한 시사평론 & 문화평론) - 미디어아트 회화 & 웹툰 디자인 작품 A hand-painted picture by Chul-joo Choi on a computer &.. 2021. 3. 3.
미술평론가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Chul-joo Choi 시사만평 회화: <블랙핑크 '더 쇼'>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미술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Chul-joo Choi 시사만평 회화: Chul-joo Choi,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8 ,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 ​ ​ 블랙핑크 '더 쇼' ​ 시사만평으로 게재된 최철주 만평 [12] “젊은 유권자는 유튜브에서 선거 방송보다는 블랙핑크 '더 쇼'를 보려고 한다.”는 라캉적 응시로 바라본 벨라스케스의 을 중의적 이미지다. 17세기 바로크 시대 절대 왕권의 관념적이고 정형화된 이미지로 벨라스케스(Diego Ro.. 2021. 2. 21.
미술평론: 미술평론가 & 미디어아트 페인터 최철주 디자인평론, 미디어아트 쓰레드 페인팅(thread painting); 최철주 <나팔꽃> & 미디어아트; 최철주 <나팔꽃>, 2020~2021 미술평론: 현대미술가 & 미디어아티스트 최철주 미디어아트평론/ 최철주 미디어아트 디자인 미술평론, 미디어아트의 쓰레드 페인팅 2020 & 미디어아트; 최철주 2021, 미누현대미술관 - 최철주 미술평론 및 한국현대 미술평론가의 라캉 디자인 방법론적 평론 (웹사이트: newsmanwha & artreview​ - 미술평론): Lacan‘s Design Methodological Criticism of Choi Chul-joo's Art & Review and Korean Contemporary Art Review (Website: newsmanwha & artreview - Art Review) Chul-joo Choi, Media-art: morning glory, Still image (morning .. 2021.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