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평론150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Art Review News - Reading New Works:한국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The artwork posted on Facebook: 현대미술 회화; 왜상적 회화 이미지로서의 의미 <morning glory 2021-i>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Art Review News - Reading New Works: 한국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The artwork posted on Facebook: 현대미술 회화; 왜상적 회화 이미지로서의 의미 왜상적 회화 이미지로서의 의미 라캉 이론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하는 것은 타자의 욕망에서 ‘응시’로써 인지할 수 있는 왜상적 이미지로서 의미를 드러내는 것은 라캉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타자의 응시다. 그것은 타자의 응시로써 인지가 가능토록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라캉적 인식의 존재는 응시다. 라캉적 디자인의 테마 이미지로서 의미는 비표상으로서 실재이므로 오브제ɑ로서의 실재를 통해 원인과 결과 그리고 의미를 드러낸다. 그 의미로서 디.. 2021. 11. 28.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Art Review News - Reading New Works:한국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Artwork displayed in the gallery: 옻칠민화 현대한국화 전시, 이창희 개인전, 광안갤러리, 20211019-2..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Art Review News - Reading New Works: 한국 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Artwork displayed in the gallery: 옻칠민화 옻칠한국화 전시, 이창희 개인전, 광안갤러리, 20211019-20211028 이창희 개인전, 광안갤러리 이창희 개인전 대상의 상념에서 벗어난 적정(寂靜)을 그리는 이창희는 무늬를 헤아리지 않는다. 따라서 그녀의 그림은 상념을 통해 스스로를 정립하는 관념적 공간을 만든다. 그 공간은 구조화되지 않고 비원근법적 시각체계를 구성하여서 시간성으로 한 흔적으로 남겨진 색들과 상념을 동일시한다. 그녀의 상념적 주체는 현상적 대상과 상상적 동일시의 영역에 관련된 기억을 연결하여서 그 기억의 기의적 의미를.. 2021. 10. 27.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상징적 표상의 기표화 <morning glory 2021-d-1> 미술평론 뉴스-신작읽기: 한국현대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신작읽기 Work posted on Facebook: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1-d-1, 136X16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1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의 평면성 의미가 없는 비존재로서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는 평면성을 조건으로 한 소지로서의 존재하는 은폐된 미의 구조의 오브제ɑ를 드러내기 어렵다. 지각된 상징적 표상은 소지로서 조형적 미적 구조의 의미가 부재된 조형성이다. 이렇게 완성된 표상은 실재를 은폐한 가상적 이미지이다. 가상적 이미지는 평면으로 지각되어짐으로써.. 2021. 9. 21. 문화평론: 라캉적 문화평론가, 미술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회화 문화평론 - 회화: [25]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의 평면성 -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 <지각된 표상.. 문화평론: 라캉적 문화평론가, 미술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회화 문화평론 - 회화: [25]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하는 회화의 평면성 -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 & 상징적 표상의 기표화 라캉의 미술이론을 구조화하여서 이미지로 그리는 현대미술가 & 미술평론가 최철주/ Contemporary artist & art critic Chul-joo Choi structures the Lacan's art theory and embodies it as an image 김한규, , 40.1×40.1cm mixed media on panel, 2021 상징적 표상의 기표 체계로 전환 또하나의 공간에 형상을 그리는 김한규는 象嵌기법으로 海影의 記憶을 표기한다. 그는 지각으로 재인되는 표상적 체계.. 2021. 9. 21.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8 다음